본문 바로가기

엘리아 카잔

칼의 고통이 진짜 고통이었던가 [영화읽기] 엘리아 카잔의 (1955)이라는 영화의 제목은 성경에서 나온 것으로 영화에서도 등장인물인 보안관 샘의 입을 통해 이야기되고 있다. 성경에 따르면 카인은 아벨을 죽인 뒤 여호와를 떠나 에덴의 동쪽에 있는 놋으로 갔다고 한다. 영화가 시작되면 자막을 통해 이 작품의 지리적 배경이 사리나스와 몬터레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는데, 그렇다면 아담 트라스크(레이먼드 매시)의 농장은 에덴이고 아담을 떠난 케이트(조 반 플리트)가 바를 운영하면서 타락한 삶을 살아가는 몬터레이는 놋이라고 할 수 있을까? 혹은 아버지의 총애를 한 몸에 받는 착한 아론(리처드 다바로스)은 아벨, 비뚤어진 칼(제임스 딘)은 카인이라고 봐도 될까? 아마 그렇게 볼 수 있을 것 같다. 소설에서는 케이트와 아담 사이에서 벌어진 일이 좀 .. 더보기
자연적 공간을 삼키는 미국적 이상 [영화읽기] 엘리아 카잔의 엘리아 카잔의 (1960)은 미국의 이상이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보여주는 영화다. 광활한 미대륙의 거친 자연을 발전이라는 미명 하에 제어해 나가는 정부(에서 파견된 인물)의 고난이 영화에 역동성을 부여하며, 그런 과정에서 개인들, 집단들 혹은 개인과 집단은 끊임없이 서로 갈등을 겪는다. 하지만 결국 갈등은 해소되어 함께 더 나은 국가를 일구어 나가는 것으로 결말이 난다. 물론 모든 갈등이 해소되는 것은 아니지만 영화의 내러티브를 이끌고 나가는 주요 인물들은 필연적으로 영화의 말미를 장식하는 아름다운 관계로 나아간다. 이런 전개에서 영화적인 장치로 본토 대륙과 섬, 그리고 그 사이를 흐르고 있는 강이라는 공간이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영화의 초반에 노파의 섬은 본토 대륙에 못지않게 .. 더보기
현대판 ‘로미오와 줄리엣’이 펼치는 젊은 날의 초상 [영화읽기] 엘리아 카잔의 터키 이민자 출신으로 자신의 영화작업을 지속시키기 위해 ‘밀고자’라는 낙인이 찍힌 엘리아 카잔은 자신을 옹호한 영화 (1954) 이후 끊임없이 ‘과거로의 회귀’를 꿈꾸는 듯하다. 젊은 날의 초상, 청춘은 아름다웠다고 회고하는 것처럼 말이다. 직후인 1955년에 만든 이 그렇고, 1961년 작 역시 그러하다. 두 영화 모두 당시의 시대가 아닌 1930년대 이전의 시기를 다루고 있고, 풋풋한 젊은이들의 방황하는 모습에 초점을 맞춘다. 윌리엄 워즈워드의 시편에서 제목을 따온 은 대공황기 직전인 1928년 미국 캔사스의 작은 마을과 고등학교를 무대로 펼쳐지는 비운의 사랑 이야기다. 모든 사람들에게 인기 많은 부잣집 도련님인 버드(이 영화로 데뷔한 워렌 비티)와 가난하지만 아름답고 모범.. 더보기
‘미국 시민’ 카잔이 자유주의 국가 미국에서 꿈꾸는 것 [영화읽기] 엘리아 카잔의 미국의 한 하원의원의 반유대주의 발언과 그에 동조하는 분위기에 충격을 받은 로라 홉슨(Laura Z. Hobson)은 반유대주의 문제를 다룬 「신사협정」을 썼으며, 제작자인 대릴 자눅(Darryl F. Zanuck)은 당시 미국사회의 민감한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영화 제작에 나섰다. 영화 (1947)의 내러티브는 원작을 기반으로 유기적이고 탄탄하게 진행된다. 대부분의 시퀀스나 장면에서는 특이한 카메라 앵글이나 편집을 찾아보기 힘들다. 대신에 유머러스하면서도 진지한 대사, 그리고 배우들의 섬세한 연기가 빛을 발한다. ‘신사협정’이라는 제목이 시사하는 것처럼 영화는 ‘격렬하고 광적인’ 반유대주의자들의 모습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영화에서 반유대주의의 문제를 다루는 방식은 백.. 더보기
배우의 감독, 엘리아 카잔 지난 11일 오후 서울아트시네마에서는 상영 후, ‘배우의 감독, 엘리아 카잔’이란 주제로 영화평론가 김영진 교수의 강연이 있었다. 카잔과 말론 브랜도와 얽힌 재미있는 일화는 물론, 메소드 연기 스타일에 대해 들을 수 있었던 그 시간의 일부를 옮긴다. 김영진(영화 평론가, 명지대 교수): 엘리아 카잔이란 감독과 배우들에 얽힌 얘기를 드리겠다. 는 1954년에 아카데미에서 거의 상을 휩쓴 영화인데, 반미 위원회에서 엘리아 카잔이 동료들을 밀고한, 당대의 맥락에서 자유롭지 않은 영화이다. 권력집단에 맞서는 개인의 운명을 생각할 수 있는데 당시에는 상당히 복잡한 맥락에 있었던 영화이고 카잔의 경력에서는 오점이었던 작품이다. 말론 브랜도는 그런 면에서 이 영화 출현을 꺼려했고, 이런 저런 얘기 끝에 매일 오후 4.. 더보기
엘리아 카잔의 아메리카 지난 8일 오후 7시 시네마테크 전용관 서울아트시네마에서는 엘리아 카잔의 상영 후, ‘엘리아 카잔의 아메리카’란 제목으로 서울아트시네마 김성욱 프로그래머의 강연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엘리아 카잔의 영화적 세계에 대해 전반적인 설명을 들을 수 있었던 강연의 일부를 옮긴다. 김성욱(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엘리아 카잔과 관련해서 주목하고 싶은 것은 미국이라는 거대한 세계다. 1930년대에서 50년대를 거치며 카잔이 영화를 만들기 위해 표현했던 ‘아메리카’라는 사회는 개인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이 겹치는 곳이었다. 엘리아 카잔은 2003년 9월 28일 사망했다. 1976년에 을 만들고 감독에서 은퇴한 셈이었는데 그래서 그는 오랫동안 잊혀져 있었다. 하지만 1990년대에 「어 라이프」라는 자서전을 출간하면서.. 더보기
세기말에 카잔은 어떻게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나? 엘리아 카잔의 아메리카 [1] 엘리아 카잔은 2003년 9월 28일 사망했다. 1975년작인 으로 사실상 영화계를 은퇴했던 경력을 고려한다면 카잔의 후기의 삶이 비교적 조용했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겠지만 사실, 그렇지는 않았다. 97년에 카잔은 860페이지에 달하는 '나의 삶'이라는 자서전을 출간해 화제를 모았다. 그리고 20세기를 마감하는 사건이 있었다. 1999년 3월의 아카데미 수상식, 여기서 카잔은 '평생공헌상'을 수상했다. 곧바로 수상을 반대하는 의견이 나왔다. 카잔이 50년대에 동료들을 밀고했던 것이 문제였다. 1951년 반역행위조사위원회(House Un-American Activities Committee)에서 증언을 거부해 16년 동안이나 할리우드에서 추방됐던 의 아브라함 폴란스키가 분명한.. 더보기
배우들의 감독, 엘리아 카잔 「엘리아 카잔: 나의 삶」이라는 자서전에서 보면 카잔은 영화계에서 은퇴한 후에 아침마다 면도용의 작은 거울을 쳐다보며 마치 아이같이 ‘도대체 너는 누구인가’라고 질문했다고 한다. 그는 평생 자신이 어떤 인물인가를 고민했던 인물이다. 카잔은 1909년 터키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에서 그리스인의 부모님 아래서 태어나 그의 나이 네 살 때 부모님과 함께 터키의 압정을 피해 미국으로 건너온 이주민이었다. 부친의 양탄자 사업으로 어린 시절 카잔은 비교적 유복하게 성장했지만 자신이 터키출신의 이주자였기 때문에 미국에서 깊은 소외감을 경험해야만 했다. 그가 연극과 영화에 몰두한 것도 이른바 소외를 탈피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던 것이다. 그는 아메리칸 드림의 체현자였고 동시에 그 꿈이 악몽으로 변하는 순간에 밀고자가 되기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