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경계도시 특별상영(4)
-
7년의 대장정, 그 시간 동안의 거리 두기
의 홍형숙 감독을 만나다! 지난 3, 4일 양일간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한국사회가 낳은 영원한 경계인 재독 철학자 송두율 교수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영화 와 의 특별상영이 있었고, 4일 오후 1시 상영 후 이 영화를 만든 홍형숙 감독과 관객과의 대화의 시간이 마련되었다. 지구상에 유일하게 남은 분단국가, 바로 우리 한국사회의 모습을 다시금 들여다보고 생각해볼 수 있었던지라 많은 질문이 오갔던 그 만남의 시간을 일부 옮겨본다. 김성욱(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이 작품이 2003년도와 2004년도를 거치면서 2010년도에 모습을 보이게 됐는데 그 과정의 시간들을 잠깐 얘기해주신다면. 홍형숙(영화감독): 2000년에 1편 찍으러 베를린에 갔다. 송두율 교수를 처음 뵙고 그때부터 인연을 맺기 시작했는데 빠른 ..
2010.04.16 -
‘송두율’ 그는 누구인가, 개인에 대한 밀착과 거리두기
[영화읽기] 홍형숙 감독의 와 중반부에 송두율 교수가 방에 들어왔을 때, 감독이 더 이상 영화를 찍는 것을 진행시켜야 되는지에 대해서 고민하는 장면(대사)이 있다. 만약 그때 카메라의 전원을 껐다면 아마도 우리는 이 작품을 볼 수 없었을 것이다. 그 상황에서 제기되는 두 가지의 고민은 아마 영화를 찍는 일을 계속 진행해야 하는지와 계속 찍는 것을 선택한다면 송두율 교수와 카메라의 거리를 어느 정도로 유지할 것인가 일 것이다. 이는 총체적 문제의식이다. 즉 와 는 진행(혹은 지속)과 거리두기에 대해서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으며, 이는 영화 속 인물과 관객에게도 무관하지 않다. 송두율 교수는 경계인으로서의 삶을 지속하기 위해 남과 북에 거리를 두려고 하지만(그것은 그의 이론이기도 하다) 실천이 그렇게 마음처럼..
2010.03.31 -
흑백논리의 제국을 집요하게 파헤치는 영화
[영화읽기] 홍형숙 감독의 와 와 는 간첩혐의로 입국금지처분을 받은 제독철학자 송두율 교수의 귀국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다. 2000년에 촬영을 시작해 2002년에 제작되었던 는 홍형숙 감독이 베를린에 머물며 송두율 교수의 한국방문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을 다룬다. 2000년 송두율 교수는 꿈에 그리던 고국방문을 눈앞에 둔 상황이었고 영화는 한국에 돌아오기를 준비하는 송두율과 그의 부인 정정희 여사의 설레는 마음을 깊게 밀착해서 잡아낸다. 는 송두율 교수가 조국으로부터 부당한 피해를 받는다는 것을 전제로 한 채 시작된다. 영화의 초반, 홍형숙 감독은 과거에 장벽으로 둘러싸였던 베를린의 거리를 보여주며, 베를린 사회 속에 남과 북의 경계인으로서 살고 있는 송두율이라는 인물에 다가선다. 송두율 교수의 집에 ..
2010.03.31 -
서울아트시네마 후원을 위한 ‘경계도시’ 특별상영
시네마테크 전용관 서울아트시네마는 오는 3일, 4일 양일간 홍형숙 감독의 와 를 함께 상영하고, 4일 오후 1시 상영 후에는 감독과 관객과의 대화 시간도 갖는다. 는 한국사회가 낳은 영원한 경계인 재독 철학자 송두율 교수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영화. 2002년 선보인 가 간첩 혐의를 받으며 35년간 입국금지 상태였던 재독 철학자 송두율이 재차 귀국을 시도하다 좌절되는 과정을 인물 중심으로 풀어낸 작품이라면, 이번에 개봉한 는 2003년, 마침내 37년 만에 귀국하게 된 송두율과 그를 둘러싸고 벌어진 대한민국 이데올로기의 광풍을 적나라하게 기록한 작품이다. 과 사이의 시간적 간극은 7년으로 는 다큐멘터리치고는 상당히 긴 시간 동안 작업을 했다. 홍형숙 감독이 한 인터뷰에서 “태풍의 시간을 통과한 후에 시..
2010.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