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테크(106)
-
10년전의 영화를 꺼내어: 신자유주의 시대의 살풍경 '와이키키 브라더스'
1월 작가를 만나다: 임순례 감독의 상영 후 관객과의 대화 지난 29일 저녁 ‘2001년의 기억!’이란 제하로 2011년 첫 작가를 만나다가 열렸다. 이번 달의 주인공은 개봉 10주년을 맞는 임순례 감독의 ‘와이키키 브라더스’. 상영 후에는 원래 임순례 감독과의 대화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임순례 감독 개인사정으로 자리를 함께하지 못하고 허남웅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와의 관객과의 대화가 이어졌다. 10년 전의 영화를 꺼내어 다시 보며 관객과 함께 감흥에 젖어 호흡했던 그 현장의 일부를 여기에 옮긴다. 허남웅(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이번 작가를 만나다는 개봉 10주년을 맞는 임순례 감독의 를 선택했다. 이 영화는 일명 ‘와라나고’ 운동의 정점에 있는 작품이다. 관객들이 자발적인 운동을 펼쳐서 흥행까지는..
2011.02.01 -
유용지의 '서울아트시네마 가는 길'
- 시네마테크 홍보용 동영상(UCC) 공모전 우수상 수상작 ‘2011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를 앞두고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는 시네마테크의 홍보효과를 높이기 위해 시네마테크를 알릴 수 있는, 혹은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와 관련한 추억과 기억, 단상을 담은 홍보용 동영상(UCC) 공모전을 열었습니다. 서울아트시네마는 교육적, 문화적 목적으로 영화를 상영하는 서울 유일의 비영리 시네마테크전용관으로 매년 350여 편의 영화가 상영되고 영화인들과 영화애호가들이 찾는 문화공간으로 영화문화의 다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화박물관, 영화도서관이라 불리는 시네마테크는 공공문화의 영역으로 영화문화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곳이지만 현재의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는 그 역사와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재정적..
2011.01.25 -
견디고 버틸 것, 봄은 온다!
지난 겨울은 참으로 드라마틱했다. 적어도 나에게는. 그리고 영화를 좋아하고, 영화에게 말을 걸고픈 이 땅의 시네필들 역시 나와 다르지 않다고 본다. 바로 영화를 진흥한다는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의 파행 행정이 빚어낸 일들 때문이다. 영화의 성지라 불리는 시네마테크 사태부터 미디어센터, 독립영화전용관 운영자 선정 공모 비리, 한국영화의 미래를 짊어지고 갈 영화아카데미의 기능 축소 문제까지 영화계 전반적으로 영진위는 폭격탄을 날렸고, 많은 영화인들과 영화학도, 그리고 이 땅의 시네필들이 이에 분노하고 반발하며, 저마다의 행동을 보였다. 관객들과 만나기 위해 찍은 자신의 영화를 새로운 독립영화전용관에서 틀지 말아달라고 1인 시위를 벌이는가 하면, 수많은 영화인들이 영진위 정상화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냈고,..
2010.05.05 -
‘시네마테크 사태’로 본 ‘시네필의 역할’에 관한 소고
들어가는 말: 2010년 겨울, 시네마테크를 기억하며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에 대한 영화진흥위원회의 공모사태로부터 네 달, 계약종료에 따른 지원금 지급이 끊긴지 53일이 흘렀다. 주지하다시피 공모와 재 공모 강행에도 불구하고 응모 단체는 없었다. 애초부터 시작하지 말았어야 할 일이었다. 할 수도 없고 해서는 안 되는 일에 집착한 결과, 영진위는 명분도 위신도 다 잃고 말았다. 그렇다고 문제가 해결된 건 아니다. 영진위는 분풀이라도 할 요량으로 심통을 부리고 있다. 즉 공모제 무산 이후 어떤 후속조치도 내놓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서울아트시네마에 대한 지원도 중단한 것이다. 이 상황은 언제까지 계속 될 것인가. 이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나는 ‘시네마테크 공모제 사태’를 겪으면서 몇 가지 흥..
2010.04.29 -
'시네마테크 사태'를 생각한다!
[포럼] 영진위 지원중단 50여 일째, 무엇을 고민해야 하나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가 시네마테크 운영자를 공모하는 파행적인 행각을 벌인 지 대략 넉 달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이 사태는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지난 22일 저녁 시네마테크 전용관 서울아트시네마에서는 이 사태가 무엇이 문제인지에 대해 되돌아보고 점검해볼 수 있는 포럼을 열었다. 영화평론가인 김영진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포럼에는 영화인 대표자연대회의 최현용 사무국장과 영화평론가인 네오이마주 백건영 편집장, 그리고 시네마테크 후원금 모집 관객 대표로 필름에 관한 짧은 사랑(이하 필사)의 강민영 편집장이 발제를 맡았고, 서울아트시네마 김성욱 프로그래머와 서울에 시네마테크 전용관을 건립하기 위한 추진위원회(이하 시네마테크 건립추진위) 간..
2010.04.26 -
서울아트시네마 후원을 위한 ‘경계도시’ 특별상영
시네마테크 전용관 서울아트시네마는 오는 3일, 4일 양일간 홍형숙 감독의 와 를 함께 상영하고, 4일 오후 1시 상영 후에는 감독과 관객과의 대화 시간도 갖는다. 는 한국사회가 낳은 영원한 경계인 재독 철학자 송두율 교수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영화. 2002년 선보인 가 간첩 혐의를 받으며 35년간 입국금지 상태였던 재독 철학자 송두율이 재차 귀국을 시도하다 좌절되는 과정을 인물 중심으로 풀어낸 작품이라면, 이번에 개봉한 는 2003년, 마침내 37년 만에 귀국하게 된 송두율과 그를 둘러싸고 벌어진 대한민국 이데올로기의 광풍을 적나라하게 기록한 작품이다. 과 사이의 시간적 간극은 7년으로 는 다큐멘터리치고는 상당히 긴 시간 동안 작업을 했다. 홍형숙 감독이 한 인터뷰에서 “태풍의 시간을 통과한 후에 시..
2010.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