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 베니스영화제가 알고 싶다

2012. 12. 6. 14:34특별전/2012 베니스 인 서울

 

80년의 긴 역사를 자랑하는 이탈리아의 베니스영화제는 최초의 국제영화제라는 위상에 걸맞게 프랑스의 칸, 독일의 베를린 등과 함께 전 세계 영화들의 허브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다. 그것이 어디 하루 이틀에 가능한 일이었을까. 1932년 출범부터 2012년 <피에타>의 황금사자상 수상까지 베니스 영화제의 역사와 이모저모를 살펴본다.

 

 

 

 

 

공식명칭

베니스 국제 영화제(Venic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일시

매년 8월말부터 11일간

 

메인극장

리도 섬의 팔라조 델 시네마(Palazzo del Cinema)

 

출범

초대영화제는 1932년 7월 6일부터 8월 21일까지 무려 40여일 넘게 진행됐다. 정확히는 그 기간 동안 열린 18회 베니스 비엔날레(Venice Biennale)의 부속 행사로 시작됐다. 지금이야 팔라조 델 시네마에서 화려하게 막을 올리지만 당시에는 엑셀시오르 호텔의 테라스에서 조촐하게 개막을 알렸다. 비경쟁이었던 초대영화제의 첫 번째 상영작은 루벤 마물리언의 <지킬 박사와 하이드 Dr. Jekyll and Mr. Hyde>(1931)였다. 그 외에 프랭크 카프라의 <어느 날 밤에 생긴 일>(1934), 에드먼드 굴딩의 <그랜드 호텔>(1932), 킹 비더의 <챔프>(1931), 제임스 훼일의 <프랑켄슈타인>(1931) 등이 상영됐다. 그중 <Putjovka v zizn>를 연출한 소련의 니콜라이 엑크(Nikolaj Ekk) 감독이 관객들의 투표로 뽑은 감독상의 영예를 안았다.

 

발전

베니스 영화제는 그 이듬해인 1935년에 독립했다. 그와 함께 참여하는 영화와 국가의 숫자도 늘어났고 관객이 뽑는 감독상 외에 배우상도 생겼다. 1936년 3회 때는 심사위원 상이 신설됐고 1937년에는 영화제의 메인 행사관인 팔라조 델 시네마의 건설 계획을 발표하며 부지에 첫 삽을 떴다. 1938년에는 1891년부터 1933년까지 발표됐던 프랑스 영화를 대상으로 한 첫 회고전도 열렸다. 무엇보다 당시 굉장한 인기를 구가하던 독일 출신의 미국 영화배우 마를렌 디트리히가 영화제를 위해 리도 섬을 방문, 베니스는 톡톡한 홍보 효과를 보았다. 이를 계기로 영화제 측에서는 유명 배우의 초청에 공을 들이게 되지만 세계2차 대전으로 인해 1940~1942년까지는 자국 이탈리아를 제외하고는 참가하는 나라가 거의 없어 잠시간 배우 초청 효과도 퇴색했다.

 

위상

출범 후 15년 동안은 베니스가 영화제의 규모를 넓혀가며 자리를 잡는 시기였다면 명실상부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시작한 건 1950년대부터다. 이는 미국과 서유럽 쪽에 집중됐던 프로그램에서 탈피해 동유럽과 아시아와 같은 미지의 영화를 발굴하는데 힘쓴 결과였다. 특히 <라쇼몽>(1950)의 구로자와 아키라와 ‘아푸 시리즈’ 2부에 해당하는 <정복되지 않은 사람들 Aparajito>(1956)의 샤티야지트 레이에 황금사자상을, <우게츠 이야기>(1953)의 미조구치 겐지에 은사자상을 수여하면서 위상이 더욱 높아졌다. 이후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안제이 바이다 등 동유럽 시네아스트들에게 지지를 선언하는 등 베니스는 외적인 화려함보다 정치적으로 의미 있는 영화를 옹호하며 정체성을 확립해 갔다. 1969년에는 시상제도를 폐지했지만 영화제의 활기가 떨어지면서 1974년에 이를 다시 부활시켜 떨어진 위상을 다시금 찾아갔다.

 

시상

베니스 영화제의 경쟁부문은 중견과 신인, 장편과 단편으로 이원화되어 진행된다. 그래서 시상은 중견감독을 대상으로 하는 ‘베네치아69’(뒤의 숫자는 영화제 횟수를 따른다. 2012년은 69번째 영화제였다)와 젊은 감독들을 위주로 새로운 영화의 경향을 보여주는 ‘오리종티’, 그리고 ‘단편경쟁’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또한 새로운 테크놀로지로 만든 작품을 포함해 스타일과 실험성이 돋보이는 영화들을 모은 ‘새로운 영토’, ‘국제 비평가 주간’ 등으로 꾸며진다. 공식 경쟁부문인 베네치아69의 최우수작품상은 황금사자상, 심사위원 대상은 은사자상으로 불리며 그밖에 심사위원특별대상, 남녀주연상인 볼피상, 최고의 신인남녀배우에게 주어지는 마르첼로 마스트로얀니상 등을 시상한다. 영화제가 끝난 후 1주일간 뛰어난 단편영화들을 위한 행사가 별도로 열린다.

 

한국영화

한국영화로는 신상옥 감독의 <성춘향>(1961)이 처음으로 베니스 영화제에 초청됐고 20년이 지난 1981년에 이두용 감독의 <피막>(1980)이 최초로 경쟁 부문에 진출했다. 첫 번째 수상은 1987년 경쟁 부문에 올라간 임권택 감독의 <씨받이>(1986)에서 열연을 펼친 강수연의 최우수여우주연상으로 이뤄졌다. 이후 한국영화는 장선우 감독의 <거짓말>(1999), 김기덕 감독의 <섬>(2000)과 <수취인불명>(2001), 송일곤 감독의 <꽃섬>(2001)이 잇따라 베니스 영화제의 경쟁 부문에 올랐다. 2002년에는 <오아시스>로 이창동 감독과 배우 문소리가 각각 감독상과 신인여배우상을, 2004년에는 <빈집>으로 김기덕 감독이 감독상을 수상했다. 그 후로도 <짝패>(2006), <천년학>(2007), <검은 땅의 소녀와>(2007) 등이 소개됐고 2012년에는 김기덕 감독이 <피에타>로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글/ 허남웅(영화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