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 시네바캉스 서울/Review

에른스트 루비치의 '천국은 기다려준다'


미국으로 건너간 뒤에도 에른스트 루비치의 성공은 지속됐다. 도회풍의 세련된 코미디가 급격한 변화를 겪던 미국인, 미국 사회와 잘 맞아떨어진 까닭이다. 자기 영화의 성향과 잘 어울리는 파라마운트사와 주로 관계를 유지했던 루비치는 1941년에 폭스 사와 계약을 맺는다. 그리고 발표한 <천국은 기다려준다>는 루비치의 유성영화 중 흥행에 가장 성공한 작품으로 남았다. 영화는 헨리라는 남자의 내레이션으로 진행된다. 상류층 뉴요커인 그는 죽은 뒤 지옥사자 앞에서 자기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루비치는 역사물을 다룰 때에도 시대와 무관한 작품 세계를 선보이곤 했다. 사회와 역사의 무게에 짓눌린 개인은 그의 관심사가 아니었다(<천국은 기다려준다>의 전작인 <죽느냐 사느냐>(1942)를 기억해보라). 그러한 점에서 <천국은 기다려준다>는 루비치 영화의 기념비에 해당한다. 영화는 19세기 말부터 이십세기 중반에 이르는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나, 인물들의 삶은 역사와 무관하다(혹은 그렇게 보인다). 루비치는 당시 세계를 뒤흔든 전쟁과 공황의 흔적조차 깡그리 없애놓았다(인물의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건 패션뿐이다). 아무리 한 개인의 기억을 반영했다 할지라도 바깥 세계와 단절돼 흘러가는 영화는 기이하다. 혹자는 루비치 영화의 이러한 경향을 ‘초월적인 성격’이라 일컫는다. 같은 해 나온 마이클 파웰과 에머릭 프레스버거의 <블림프 대령의 삶과 죽음>(1943)과 비교해보면 루비치 영화의 색깔이 극명해진다. 같은 시기를 살았던 남자의 회고담이라는 점에서 두 영화의 출발점은 동일하지만, 인물과 전개 방향은 판이하다. 일종의 전기 영화이면서도 <천국은 기다려준다>는 장르의 룰을 뒤엎는다. 주인공은 딱히 주목할 인물이 아니며, 그의 삶 또한 교훈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다.

시대를 대하는 흐릿한 시선은 인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10년을 주기로 헨리의 생일마다 벌어지는 에피소드의 모음으로 로맨틱 코미디를 구성했는데, 헨리를 제외한 나머지 인물의 전후사정이 의도적으로 제거되어 있다. 살면서 사람들과 만나고 헤어지는 것처럼, 루비치는 70년에 걸쳐 인물을 배치했다 제거하기를 반복한다. 심지어 주인공의 영원한 사랑인 아내에 대해서도 유별난 결말을 준비하지 않는다. 그녀가 죽고 세월이 흐른 후, 영화는 자연스레 주인공의 원래 모습으로 옮아간다. 이렇게 어느 정도 무심한 태도는 루비치 영화의 도시적 우아함, 탈도덕성과 연결된다. 다소 뻔뻔한 루비치 영화의 인물들은 자기 길을 걸을 뿐 도덕이나 규칙을 따르지 않으니, 흡사 루비치는 영화에서 그렇게 행동하면 안 되느냐고 따지는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인 루비치는 ‘미국적인 것’에 양보하기를 거부하진 않았다. 이전 영화 같으면 바람둥이의 삶을 합리화했을 법한 헨리는 결혼과 가족에 충실한 삶에 자리를 내준다. 한때 바람둥이였던 남자는 결국 양처의 곁에 머물며, 저승에 도달할 때까지 그녀의 기억을 마음속에서 지우지 않는다. 헨리가 천국행을 부여받는 건, 저승사자가 그의 행복한 결혼생활을 인정한 다음이다. 간통과 삼각관계의 제왕인 루비치에게 충실한 결혼생활의 영화라니 믿어지는가. 이전에도 미국으로 이주한 독일 감독 중 유일한 미국인으로 대우받았던 루비치는 <천국은 기다려준다>에서 드디어 완전한 미국인으로 변신한다. 정치사회적으로 미국과 유럽이 심각한 상태에 있을 즈음 루비치는 특유의 우아한 코미디에 어떤 변화를 추구해야 했을 것이고, 거꾸로 경박한 스크루볼 코미디에 몸을 던지고 싶지도 않았을 것이다. <천국은 기다려준다>의 보수적인 성격은 그 결과다. 루비치의 영화가 히치콕의 영화보다 덜 알려진 이유는 하나밖에 없다. 영화의 제목과 반대로 루비치가 더 오래 살도록 천국이 기다려주지 않은 탓이다. 천국마저 그의 이야기를 어서 빨리 들으며 웃고 싶었던 모양이다.

글/
이용철(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