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상영작 소개

멜로드라마 장르의 전복, 더글라스 서크의 <바람에 사라지다>


더글라스 서크를 그저 ‘감상적인 멜로드라마 감독’으로 여기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카이에 뒤 시네마와 6,70년대 비평가들에 의해, 그리고 그의 영화를 재전유한 파스빈더에 의해 재발견된 작가로서, 그의 영화는 할리우드 시스템의 엄격함을 넘어서는 개인적 스타일, 장르를 우회하여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양식 등으로 높이 평가된다. 특히 <바람에 사라지다>(1956)는 서크 특유의 미장센과 스타일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그는 전형적인 멜로드라마의 틀을 적극 빌려오지만, 시각적 과잉과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선으로 멜로드라마 장르가 갖는 순응적 구조를 전복한다.


멜로드라마는 갈등과 문제를 내부로 가져 오면서, 인물들이 자신의 욕망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소외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바람에 사라지다>에서 석유재벌인 해들리가를 중심으로 한 네 남녀의 전치된 욕망과 부질없는 행위들은 그러한 할리우드 멜로드라마의 전형적인 패턴을 지닌다. 해들리가의 두 남매 카일과 메릴리는 내면의 불안과 좌절된 사랑으로 인해 자기파괴적인 삶을 살아간다. 알콜중독인 카일은 루시와의 결혼으로 잠시 안정된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성적 무기력에 대한 공포와 함께 미치에 대한 질투심이 더해져 돌이킬 수 없이 무너져 내린다. 메릴리는 미치에 대한 자신의 사랑이 거부당하자 다른 남자들을 통해 이를 보상받으려 한다. 미치는 루시를 마음에 두고 있지만, 그녀는 카일을 원한다. 하지만 카일의 질투심 때문에, 그들이 간절히 원했던 아기는 결국 유산되고 만다. 해들리가의 인물들은 결국 대저택 안에서 죽음을 맞거나, 남겨진 황폐한 세계를 껴안을 수밖에 없다. 서크는 이 영화를 “실패에 관한 영화”라고 말한 바 있다. 인물들의 실패하고 좌절된 욕망들은 이미 무너져 내린 아메리칸드림의 또 다른 얼굴이다. 영화는 루시와 미치가 해들리가를 떠나고, 홀로 남은 메릴리가 아버지의 초상아래에서 흐느끼는 모습으로 끝난다. 영화의 미묘한 결말은 결국 실현되지 못한 욕망과 계급적 단절과 같은 해결되지 못한 갈등을 고스란히 남겨놓는다.


영화의 이야기는 양식적 스타일을 통해 완성된다. 현란한 색상과 조명, 세트와 장식들, 인물의 연기와 의상은 의도적으로 과장되어있다. 의미와 상징은 지나칠 정도로 분명하게 눈에 띈다. 많은 비평가들이 멜로드라마의 과잉적 요소에서 인물들의 억압된 욕망을 읽어 내곤 한다. 사회적 조건으로 인해 해소되지 못한 인물들의 감정은 다른 곳으로 흡수되어 나타난다는 것인데, 이는 서크의 영화에서도 분명히 드러난다. 특히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시각적 과잉은 이야기와 인물에 대해 감정적 몰입을 거부하고 관객과 영화 사이의 거리를 만들어 냄으로써 영화가 만들어낸 인위적인 현실을 인식하게끔 한다. 멜로드라마의 관객은 영화가 담아내는 현실의 모순을 지켜보게 되면서도 결국 인물에 대한 감정이입과 함께 현실에 대한 순응적 태도를 보인다. 하지만 서크의 영화는 멜로드라마 장르에 대해 관객이 기대하는 요소들을 놓치지 않으면서, 영화의 형식과 스타일을 통해 그가 갖고 있는 미국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효과적으로 담아낸다.

더글라스 서크는 멜로드라마를 통해 삶의 물리적 조건 안에 갇힌 인물들의 모습을 그려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의 작업 역시 철저히 할리우드 시스템이라는 조건 안에서 진행했다. 하지만 그만의 양식은 스타일 그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여,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었다. 제약적 현실 안에서 이를 이용하여 전복하는 서크의 영화적 힘은 시간이 흐른 지금까지도 여전히 빛을 발한다. (장지혜)


 >> 상영일정
1월 23일 토요일 14:00 상영 후 시네토크_최동훈(감독), 김윤석(배우)
2월 2일 화요일 13:30
2월 16일 화요일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