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전(121)
-
코미디와 펠리니적 축제성으로 엮어낸 영화
[영화읽기] 페데리코 펠리니의 1914년 7월, 호화로운 여객선이 ‘에드메아 테투아’라는 위대한 오페라 여가수의 고향인 이리모섬 앞바다를 향해 항해한다. 그녀의 장례식을 치르고자 함이다. 영화 (1983)는 배가 출항을 준비하는 모습을 담은 무성의 흑백이미지로 시작한다. 이는 영화 속에 나오는 1910년대의 카메라로 찍은 것 같은 초기영화의 이미지다. 영화는 뱃고동 소리, 초기영화이미지를 벗어나는 줌의 사용, 피아노 연주, 대사의 발화, 오페라 합창, 컬러로의 전환을 통해 점진적으로 현대적인 영화로 변한다. 한편 이 영화는 세트공간에서 촬영되었다. 그림으로 그려진 지평선, 비닐의 출렁임으로 표현된 바닷물, 그리고 모형으로 된 배는 공간의 허구성을 그대로 드러내며, 영화의 마지막에는 이 세트 촬영장의 외관..
2010.06.10 -
꿈에 대한 동경과 실패, 초라한 현실
[영화읽기] 페데리코 펠리니의 (1950)은 로베르트 로셀리니를 비롯한 당대 이탈리아 주요 감독들의 영화에서 조감독 및 시나리오 작업을 했던 펠리니가 처음으로 연출한 작품이다. 젊은 시절 극단생활을 하며 떠돌던 펠리니의 경험이 영화의 기초가 되었다. 알베르토 라투아다와 공동으로 연출한 이 영화는 당시 영화의 저작권을 두고 분쟁이 있었다. 라투아다가 연출자로 먼저 거론되곤 했다고 한다. 하지만 영화 속 버라이어티 쇼와 무대의 뒷모습, 그리고 인물들을 희비극적으로 묘사하는 점들은 펠리니의 영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특징들이다. 30년 경력의 유랑극단 배우 케코는 유명배우가 되려는 야심을 품은 미모의 젊은 여인 릴리아나의 유혹에 빠져 자신을 헌신적으로 사랑하던 약혼녀 멜리나와 극단을 떠난다. 케코는 릴리아나..
2010.06.10 -
서커스에 매료된 펠리니의 유년기 기억
[영화읽기] 페데리코 펠리니의 펠리니는 유년 시절의 대부분을 서커스에 매료되어 보냈다. 서커스의 긴장감과 현란한 무대는 그의 동심을 자극시키기에 충분한 매력을 가지고 있었다. 펠리니가 태어난 이탈리아의 해안 도시 리미니는 서커스와 순회공연, 카니발이 매일같이 열리던 곳이었고 펠리니는 이러한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아 서커스의 단원으로 지내기도 했다. (1954)은 그의 어린 시절, 다시 말해 서커스와 인형극 등에 매혹되어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던 자전적인 이야기가 강하게 반영되어있는 영화다. “영화라는 것이 없었고 서커스가 아직도 현대적인 흥행물이었다면 아마도 나는 큰 서커스단의 단장이 되었을 것이다”라는 펠리니의 말은 그가 유랑을 주요 소재로 삼고 있는 이라는 영화에 유년기 기억의 전부였던 ‘서커스’를 접..
2010.06.10 -
펠리니 탄생 90주년 기념, 페데리코 펠리니 회고전
환상과 현실의 경계에 서서 네오리얼리즘의 계보에서 영화작업을 시작했으면서도 다양한 영화언어의 실험으로 선배감독들의 영화와는 전혀 다른 작품세계를 구축했던 이탈리아의 거장 페데리코 펠리니(1920~1993)의 매혹에 빠질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시네마테크 전용관 서울아트시네마에서는 오는 6월 10일부터 7월 4일까지 한달 여 기간 동안 ‘페데리코 펠리니 회고전’을 연다.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가 오랜 기간 준비해서 주한이탈리아문화원 및 주한이탈리아대사관과 함께 치네치타 루체의 후원 하에 여는 이번 회고전에서는 페데리코 펠리니의 초기작부터 후기작까지 거의 전편을 아우르는 총 22편의 작품을 상영한다. 페데리코 펠리니는 네오리얼리즘의 틀 안에서 작업을 시작했지만 기존의 네오리얼리즘의 작품 세계와는 다른 주관적이..
2010.05.26 -
사라짐과 저항: 인간의 삶과 기억에 관한 물음
엘렘 클리모프의 영화가 시작되면, 시커먼 어둠 속에서 반짝이는 빛들이 하나 둘 드러나다가 이어 카메라가 수직으로 빠르게 상승하면서 반짝임이 점점 더 강렬해진다. 어둠 속에 잠긴 강물에서 모래알처럼 반짝이는 빛들이 화면을 가득 채운다. 안개 속에서 다섯 명의 이방인들이 마쪼라섬으로 들어오면서 영화가 시작되는데, 이 빛은 마치 마쪼라섬의 영혼인 듯 느껴진다. 영화는 사라져버린 마쪼라섬의 영혼이 스러져가고 저항해 온 과정을 느리고 긴 장송곡처럼 그린다. 영화 은 그렇게 사실적이고, 신비로우며, 아름다운 이미지들 하나하나가 풍부한 감성과 삶의 진실을 함축하고 있다. 영화가 진행되는 내내 그 이미지들이 우리를 압도한다. 영화의 배경이 되는 러시아 마쪼라섬의 장엄하고 신비로운 자연풍광은 인간의 말이나 행동보다도 더..
2010.05.12 -
해빙기 러시아의 전쟁영화
지난 2일 시네마테크 전용관 서울아트시네마에서는 엘렘 클리모프 감독의 상영 후, '해빙기 러시아의 전쟁영화'란 테마로 경상대 러시아학과 홍상우 교수의 강연이 열렸다. 스탈린 사후의 '해빙기'에 러시아에서는 새로운 미학을 선보인 전쟁영화가 풍성하게 만들어졌는데, 도 그 중 하나다. 이번 강연은 러시아의 역사, 정치와도 무관하지 않은 해빙기 러시아의 전쟁영화를 살펴보며 전쟁을 다시금 성찰해 볼 수 있는 기회였다. 그 현장의 일부를 옮긴다. 홍상우(경상대 러시아학과 교수): 는 볼세비키 혁명 50주년 기념으로 만든 작품으로 60년대 완료가 되어야 했으나, 여러 차례 검열에 걸리게 됨으로써 뒤늦게 완성된 작품이다. 80년대에 완료되었는데, 자료마다 완성된 시기가 좀 다르게 표기되기도 한다. 러시아의 전쟁영화는 ..
2010.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