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1. 27. 12:00ㆍ2011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Cine talk
[시네토크] 정가형제가 추천한 존 G.아빌드슨의 <록키>
지난 26일 저녁, <록키>의 상영이 끝나고 이 영화를 추천한 형제 영화감독 정가형제(정범식, 정식)와 함께한 시네토크가 있었다. 유쾌한 웃음과 순수한 감동이 감돌던 상영 때의 분위기가 그대로 이어진 시간이었다. 오랜 추억과 재회한 이들의 기쁨과 새로운 영화를 만난 이들의 가벼운 흥분이 교차하던 그 현장을 전한다.
김성욱(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 디렉터): <록키>는 두 분이 같이 추천하신 것인지?
정범식(영화감독): 작년 친구들 영화제 때 일정이 맞지 않아서 참여하지 못했는데, 그때부터 동생이랑 ‘<록키> 보고 싶지 않냐’고 얘기 하다가 추천하게 되었다.
김성욱: 왜 갑자기 이 영화를 떠올리게 되셨나?
정범식: 잘 모르겠다. <록키>가 76년 작이니까 우리도 개봉 당시에 극장에서 보지 못했다. 나는 중학교 때 <록키3>를 동시 상영관에서 보았고, 친구가 구해온 <록키4> 불법 비디오를 보면서 열광했었다. <록키>는 TV에서 봤었는데, 그때 더빙된 실베스터 스탤론의 목소리도 상당히 멋있었다. (웃음) 요새 순수한 정서로 사람의 마음을 울렁이게 하고 움직이게 하는 영화들을 많이 못 봤다는 생각이 무의식적으로 들었기 때문인지, <록키>같은 영화를 보고 싶었다. 차갑게 식어버리는 것 같은 마음에 뜨거운 감동을 받고 싶다는 내적 갈망이 있었던 것 같다.
정식(영화감독): 내 기억에는 아주 어릴 때 형이랑 할머니 댁에서 주말의 영화로 <록키>를 봤다. 그 이후에 오늘 처음 봤는데, 기억보다 훨씬 재미있었다. 편하고 쉽게 볼 수 있는 영화를 오랜만에 봤다는 생각이 든다.
김성욱: 나도 <록키>를 중고등학교 때 TV를 통해서 봤었다. 오늘 오랜만에 보니 느낌이 굉장히 다르다. 시간이 지난 뒤에 다시 보신 느낌은 어떤지?
정범식: 어렸을 때 본 영화들을 잘 기억하는 편이다. 오히려 가까운 과거의 영화들은 잘 기억나지 않는데, 예전에 보고 감동을 받았던 영화들은 굉장히 명징하게 기억하고 있다. 그래서 사실 <록키>도 모든 것들이 다 기억이 났다. 세세한 대사 디테일만 좀 달랐을 뿐이지 그때 그 시절의 느낌이 다 그대로 있는데, 거기에 더해서 각본이나 연출에 있어서 꼼꼼한 부분들을 보게 되었다. 또 큰 화면으로 보니까 더 뭉클한 감동을 받은 것 같다.
김성욱: 그 시절의 느낌이라면?
정범식: 그 당시에는 이런 단어로 표현할 수 없었겠지만, 록키가 굉장히 어눌하고 루저 같은 삶을 살지 않나. 그런데 그런 것들을 극복하면서 인간승리로 다가가려고 했던 지점, 그리고 애드리언의 마음을 열려고 하는 모습들, 그리고 폴리가 심술궂게 구는 장면들을 보면서 어떻게 이렇게 캐릭터들이 잘 조합되어 나를 움직여가고 있을까 하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또한 모두가 공감하시겠지만, 음악을 이렇게 활용해서 큰 울림을 준다는 것에도 감동받았다.
김성욱: 오늘 보면서 두 가지 장면이 특히 기억에 남았다. 하나는 스케이트 장에서 시작되는 첫 데이트 장면이었고, 뭉클하게 느껴지는 것은 역시 코치와 이야기하는 순간의 실내장면이었다. 두 분은 어떤 장면이 인상적이었는지?
정식: 원래 유명한 장면들도 인상적으로 봤지만, 록키가 애드리언을 집으로 들이려고 하는 장면에서 애드리언이 약간의 기다림을 주고 있는 느낌이 좋았다. 그리고 애드리언의 마음이 열리는 순간 흘러나오는 피아노 음악도 굉장히 감미로웠다.
정범식: 문이라는 모티브를 굉장히 잘 활용하는 것 같다. 예를 들면 애드리언이 일하는 가게에 있던 개도 개장 안에 갇혀있었고, 록키가 애드리언에게 농담을 걸 때도 새장에 갇힌 새가 계속 나온다. 그리고 코치가 록키의 집으로 찾아왔을 때도 계속 문밖에서 이야기를 하고, 애드리언의 방문을 열기 위해서 록키가 계속 그 앞에 서서 두드리며 말을 거는 장면도 있다. 록키가 애드리언을 집으로 들이려고 할 때도 농담을 던지던 록키가 먼저 건물 속으로 사라지고, 손만 나와서 문을 살짝 열어준다. 그런 장면들을 보면서, <록키>는 인물들이 새장 밖으로, 집 밖으로 나오는 이야기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크리스마스에 폴리가 난동을 부리는 장면에서 애드리언 앞에는 빈 새장이 있다. 거기에는 더 이상 새가 갇혀있지 않은 것이다. 이 영화에서는 록키의 집요함이나 고집스러움을 조금씩 드러낸다. 예를 들어 록키가 훈계하던 꼬마 여자아이가 자신에게 욕을 할 때, 루저 같은 모습으로 쓸쓸한 뒷모습을 보이지만, ‘저런 모습으로 돌아서지만 다음에 저 여자애를 봐도 또 똑같은 이야기를 할 것 같다’고 생각하게 되는 캐릭터의 느낌을 계속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거기에 동반되는 것은 음악인데, 오늘 재보니 ‘Gonna Fly Now'의 완곡이 나오는 것은 영화가 시작되고 한 시간 반이 지난 지점이었다. 그런데 그 전에 계속 발라드로 편곡된 버전의 곡을 삽입해서 관객들이 멜로디를 익힐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그 곡 전체의 정체는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나중에 록키가 훈련하며 필라델피아의 거리를 뛰어다니다가 필라델피아 미술관의 계단에서 두 손을 치켜드는 장면에서 그것을 확 터트려준다. 거기서도 이 영화가 엄청나게 디테일하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어떻게 보면 전형적인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사실적인 촬영과 잘 세공된 시나리오, 연기, 미장센이 있다.
김성욱: “재 시합은 없다”는 대사를 좋아한다(웃음) '재 시합이 없다'곤 했지만 <록키 발보아>에 이르는 시리즈가 이어지며 수많은 재 시합을 벌이게 된다. 이 뒤의 시리즈도 보셨는지?
정범식: 어렸을 때 스탤론을 워낙 좋아했기 때문에 다 봤었다.
김성욱: 실베스터 스탤론을 좋아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가?
정범식: 다른 애들이 스탤론을 좋아하는 데는 B급 액션영화를 좋아하는, 약간 마초적인 감성이 있었다. 그런데 내가 좋아하는 스탤론의 면모는 약간 루저 같은 부분들이다. 사실 스탤론이 최악의 배우로 많이 뽑히지 않았나. 그러나 스탤론이 몇몇 영화에서 보여준 연기는 탁월한 면들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정식: 축 처진 눈이 너무 멋있었다. 그리고 어렸을 때 누구나 하나씩 책받침으로 갖고 있었던 <코브라> 포스터에서의 스탤론의 사진은 정말 나를 압도했었다. (웃음) <록키> 이후에 <람보2>라는 어마어마한 히트작이 있긴 했지만, 지금에 와서 대표작을 꼽자면 <록키>가 마지막으로 남는 것이 아닌가 한다. 옛 생각이 나서 <람보4>가 개봉했을 때 극장에서 돈을 내고 본 몇 안 되는 사람 중에 하나인데 가슴이 아프더라. 영화도 너무 구시대적인 영화였고, 그 안의 스탤론도 이미 너무 늙어버렸더라.
관객1: 아폴로는 흑인이고, 나올 때도 조지 워싱턴의 제스처를 하며, 성조기 복장을 하고 나온다. 그런데 록키는 이름도 ‘이탈리아 종마’고 영화의 대사 중에서도 "미 대륙을 발견한 것은 이탈리아인이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일종의 대결 구도를 설정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정범식: 애초에 어떤 회사에서 기획해서 만들어진 영화라면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스탤론 스스로가 쓴 시나리오로 만들어진 영화기 때문에 조금 다를 것 같다. 시나리오를 쓸 때 백인 대 백인의 대결구도보다는 흑인을 상위에 둔 흑인 대 백인의 구도가 더 재미있겠다고 생각했을 것 같다. 그리고 이왕이면 그 흑인이 백인이 가지고 있었던 전유물 같은, 이를테면 조지 워싱턴의 이미지 같은 것을 갖고 오면 재미있지 않을까 하는 발상의 전환을 했을 것이다.
관객2: 오늘 <록키>를 처음 보았는데, 영화를 보기 전까지는 막연하게 권투영화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실제로는 차라리 멜로영화에 가깝다고 느꼈고, 그런 표현들이 굉장히 섬세하게 느껴졌다. 이렇게 다양한 부분이 있는데 왜 단순히 권투영화로만 비춰지는지?
정식: 그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록키라는 인물이 인간승리를 해야 한다면 구조상 어떤 것을 쟁취해야하는데, 그 당시에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권투에서 이겨나가는 것이 가장 손쉽게 인간승리를 보여줄 수 있었던 방법이고, 소재 자체도 재미있으니까. 또한 록키가 권투를 했기 때문에 지금 같은 캐릭터도 나올 수 있을 것 같다. 동물적이고 인간들이 모두 갖고 있는 본성에 가까운 느낌을 건드려주는 부분도 있다. 그래서 당연히 스포츠라는 소재를 택한 것 같다.
관객3: 남자로서 록키라는 인물을 어떻게 보셨는지?
정범식: 일단 지금 시대에 비춰볼 때 명확히 짐승남이다. (웃음) 물론 사람마다 취향이 있으니까 저런 것보다는 학자 스타일의 초식남을 좋아하시는 분도 있겠지만, 저 정도의 순수함이라면 많이 어필할 수 있을 것 같다.
정식: 록키 같은 캐릭터는 현실에 없을 것 같고, 다른 남자를 찾아보시는 것이 나을 것 같다. (웃음) 너무 매력적이고 순진하면서도 싸움도 잘하고, 착하기도 하고. 록키를 찾는 게 정말 아메리칸 드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김성욱: 두 감독님이 <록키>를 추천해주시면서 ‘우리 힘을 내자’는 메시지를 전해주셨다. 두 분도 힘을 내서 올해 영화 작업을 하시게 될 것 같은데, 앞으로의 계획은?
정범식: 이번에는 따로 작업을 하게 된다. 내가 준비하고 있는 것은 여자가 주인공인 로맨틱 액션 코미디이고, 기존의 대중들이 좋아할 요소가 많이 있는 가운데 아주 조금 다르게 찍어볼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
정식: 지금 소설을 각색하고 있고, 계획대로라면 올 가을에는 촬영에 들어갈 수 있을 것 같다. 또 다시 시대극이 될 것 같다.
김성욱: 영화를 만드는 것도 일종의 싸움을 벌이는 것 같은데, 링 위에서 끝까지 버텨서 승리를 거두는 게임을 하셨으면 좋겠다. 감사드린다.
(정리: 박예하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 관객 에디터)
'2011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 Cine tal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를 찍는다는 것의 의문” (0) | 2011.01.30 |
---|---|
“요즘 어떤 영화 보세요?” (0) | 2011.01.30 |
"불가능한 현실을 가능한 것으로 바꾸는 기적" (0) | 2011.01.26 |
“혼자만 보긴 너무 아까운 영화다” (0) | 2011.01.25 |
“전통을 벗어난 이상하게 비틀린 느낌이 좋다” (0) | 2011.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