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Review(26)
-
[리뷰] 폭력이 작동하는 방식 - 마틴 스콜세지의 <좋은 친구들>
리뷰 폭력이 작동하는 방식 - 마틴 스콜세지의 미국의 영화평론가 리처드 시켈이 쓴 를 보면 이 왜 걸작인지 소개하는 흥미로운 일화가 나온다. 1990년대 시칠리아 경찰이 마피아를 소탕한 일이 있었다. 그러자 어느 이탈리아 기자는 조직의 2인자에게 당신들의 세계를 가장 정확하게 묘사한 영화가 무엇인지 물었다고 한다. 2인자 왈, "에서 그 남자(조 페시가 연기한 토미)가 '내가 우습냐? 고 말하는 장면이요." 마틴 스콜세지는 의 원작인 니콜라스 필레지의 를 읽고는 그동안 갱스터물이 묘사하지 못했던 생활양식을 담고 있다는 점에 매료됐다. 단순히 폭력적인 것이 아니라 (하지만 이 영화에는 'f***' 발음만 무려 296번이 나온다!) 갱스터의 세계가 돌아가는 방식을 굉장히 사실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던 것. 2인..
2013.02.05 -
[리뷰] 집시의 역사, 음악으로 듣다 - 토니 갓리프의 <라쵸 드롬>
상영작 리뷰 집시의 역사, 음악으로 듣다 - 토니 갓리프의 '라쵸 드롬' 길 위의 한 소년이 타악기 리듬에 멜로디를 붙여 노래를 부르고 있다. 소년의 가족은 가축들을 이끌고 사막과 다를 바 없는 황무지를 지나 어딘가에 도착한다. 그들은 그곳에서 밤을 보내는 동안, 주민들은 첫날밤을 맞게 될 신혼부부를 위해 노래로 밤을 지새운다. 날이 밝으면 한 무리의 사람들이 다시 이동을 시작하고, 몇몇 소년들이 길을 가다 어딘가에서 들려오는 노랫소리에 홀려 발걸음을 멈춘다. 그리고 노래가 멈추면 다시 이동, 노래가 들리면 다시 쉬어감, 다시 이동, 다시 쉬어감의 반복. 여정은 그렇게 계속된다. ‘라쵸 드롬’이란, ‘좋은 길’을 뜻하는 로마니어다. 현재는 그 모태가 거의 사라져 남아있지 않은 로마니어는, 우리가 흔히 집..
2013.02.01 -
[리뷰] 숨길 수 없는 낙관성 - 애드리안 라인의 <플래시댄스>
상영작 리뷰 숨길 수 없는 낙관성 애드리안 라인의 '플래시댄스' 는 “제니퍼 빌즈의, 제니퍼 빌즈에 의한, 제니퍼 빌즈를 위한 영화”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애초 이 영화에 가장 어울릴 만한 새로운 얼굴로 발탁된 그녀는 이 영화를 통해 스타가 되어 이후 배우 경력을 이어갈 수 있게 되었지만, 지금에 와서는 오히려 를 다시 찾아보게 만드는 이유가 되었다. 80년대와 90년대 할리우드를 주름잡은 돈 심슨과 제리 브룩하이머 콤비의 첫 작품이기도 한 는 매우 단순하고 심지어 노골적인 영화다. 영화는 수시로 춤을 추는 제니퍼 빌즈의 육체를 훑으며 그녀의 풍성하고도 탄탄한 엉덩이와 허벅지를 클로즈업한다. 제니퍼 빌즈가 맡은 알렉스는 성당 신부에게 “요즘 부쩍 섹스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어요”라며 고해를 하는 순진한 ..
2013.02.01 -
[리뷰] 헝가리 영화에 대한 오해를 넘어서 - 유운성 평론가의 선택 <신밧드> <러브> <또 다른 길>
상영작 리뷰 헝가리 영화에 대한 오해를 넘어서 유운성 평론가가 선택한 헝가리 영화들 헝가리 영화는 여전히 한국의 영화관객들에겐 낯선 영역으로 남아 있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영화의 중추를 이룬다고 간주되는 지역들은 차치하고라도, 같은 동유럽 국가영화들과 비교해 봐도 체코나 폴란드 그리고 최근의 루마니아 영화 등에 비해 영화제나 시네마테크에서 소개되는 빈도도 훨씬 낮다. 물론 여기엔 몇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역사적으로 주도권을 쥐고 있었던 프랑스와 영국, 그리고 미국의 영화비평 담론들이 형성해 놓은 역사적 정전(canon)들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국의 영화 저널리즘과 영화 프로그래머들의 한계를 먼저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나마도 한국에서 헝가리 영화는 1960년대 유럽 모더니즘..
2013.01.31 -
[리뷰] 죽을 만큼 사랑할 수는 없다 - 마스무라 야스조의 <세이사쿠의 아내>
상영작 리뷰 죽을 만큼 사랑할 수는 없다 - 마스무라 야스조의 '세이사쿠의 아내' 가 처음부터 세이사쿠의 아내였던 것은 아니다. 첫 장면, 언덕 위에서 전쟁 직전의 해군 기지를 내려다보고 있는 오카네는 누구의 아내도 될 수 없을 것 같은 여자다. 그녀를 돈 주고 산 늙은 홀아비도, 그녀를 어쩔 수 없이 돈 받고 판 병든 아버지도, 그녀의 들끓는 충동을 묶어두기엔 역부족인 듯 보인다. 이 ‘여자’가 어떻게 자신의 욕망을 거세하고 누군가의 ‘아내’의 자리에 정착할 수 있을 것인가. 그 과정이, 마스무라 야스조와 팜므 파탈의 일인자 와카오 아야코 짝패를 필두로 한 이 멜로드라마의 중심축이다. 사랑영화가 이토록 무서울 수 있을까. 마스무라 야스조는 다이에이 스튜디오에서 미조구치 겐지와 이치가와 곤의 조감독을 거..
2013.01.29 -
[리뷰] 자신을 비우는 여행 - 숀 펜의 <인투 더 와일드>
상영작 리뷰 자신을 비우는 여행 숀 펜의 '인투 더 와일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2007)는 (1991) (1995) (2001)에 이은 숀 펜의 네 번째 연출작이다. 특히 는 세 편의 전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을 더 들인 작품이기도 하다. 크리스토퍼 맥켄들리스(Christopher McCandless)라는 실존'했었던' 인물을 다루기 위해 그의 가족에게서 영화화 허락을 받기까지 무려 10년이란 시간이 소요됐기 때문이다. 도대체 크리스 맥켄들리스가 누구이기에? 명문대 출신의 크리스(에밀 허시)는 한마디로 전도유망한 청년이었다. 아버지가 나사(NASA) 출신의 돈 많은 사업가였고 크리스 자신은 성적도 우수해 대학 시절 동안 과외 활동으로 2천만 원 넘는 돈을 벌어 저금까지 해 둔 상태였다. 하지만 그..
2013.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