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엘리아 카잔 특별전(10)
-
세기말에 카잔은 어떻게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나?
엘리아 카잔의 아메리카 [1] 엘리아 카잔은 2003년 9월 28일 사망했다. 1975년작인 으로 사실상 영화계를 은퇴했던 경력을 고려한다면 카잔의 후기의 삶이 비교적 조용했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겠지만 사실, 그렇지는 않았다. 97년에 카잔은 860페이지에 달하는 '나의 삶'이라는 자서전을 출간해 화제를 모았다. 그리고 20세기를 마감하는 사건이 있었다. 1999년 3월의 아카데미 수상식, 여기서 카잔은 '평생공헌상'을 수상했다. 곧바로 수상을 반대하는 의견이 나왔다. 카잔이 50년대에 동료들을 밀고했던 것이 문제였다. 1951년 반역행위조사위원회(House Un-American Activities Committee)에서 증언을 거부해 16년 동안이나 할리우드에서 추방됐던 의 아브라함 폴란스키가 분명한..
2010.04.14 -
배우들의 감독, 엘리아 카잔
「엘리아 카잔: 나의 삶」이라는 자서전에서 보면 카잔은 영화계에서 은퇴한 후에 아침마다 면도용의 작은 거울을 쳐다보며 마치 아이같이 ‘도대체 너는 누구인가’라고 질문했다고 한다. 그는 평생 자신이 어떤 인물인가를 고민했던 인물이다. 카잔은 1909년 터키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에서 그리스인의 부모님 아래서 태어나 그의 나이 네 살 때 부모님과 함께 터키의 압정을 피해 미국으로 건너온 이주민이었다. 부친의 양탄자 사업으로 어린 시절 카잔은 비교적 유복하게 성장했지만 자신이 터키출신의 이주자였기 때문에 미국에서 깊은 소외감을 경험해야만 했다. 그가 연극과 영화에 몰두한 것도 이른바 소외를 탈피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던 것이다. 그는 아메리칸 드림의 체현자였고 동시에 그 꿈이 악몽으로 변하는 순간에 밀고자가 되기도..
2010.04.07 -
메소드 연기의 주술사를 만나자
4월6~18일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리는 엘리아 카잔 특별전 엘리아 카잔(1909~2003)에 대한 언급 가운데 아마도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새로운 연기 스타일을 스크린에 도입한 영화감독이라는 평가일 것이다. 배우가 극중 인물에 몰입할 것을 요구하는 메소드 연기를 중심 원리로 삼아 배우들로부터 뛰어난 연기를 끌어낸 그와 함께 본격적인 리얼리즘 연기가 미국 영화사에 등장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카잔이 영화 카메라를 단순히 자연주의적인 ‘기록’의 도구로 간주하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그는 카메라는 오히려 현미경에 더 가깝다고 생각했고 사람들의 외양 너머로 더 들어갈 수 있다고 보았다. 실제로 카잔의 영화 속에 포착된 인물들은 내면에서 타오르는 어떤 ‘불꽃’을 보여주었다. 대개 ..
2010.04.06 -
배우들의 영화감독 '엘리아 카잔 특별전' 열려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가 4월 첫 프로그램으로 배우들의 영화감독이라 불리는 엘리아 카잔(1909~2003)을 조명하는 특별전을 연다. 오는 6일부터 18일까지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리는 이번 '엘리아 카잔 특별전'에서는 테네시 윌리엄스의 소설을 각색한 영화 (1951)를 비롯해 '냉정한 리얼리즘'을 반유대주의를 소재로 하여 보여준 (1947), 노동자와 자본 계급 간의 대립을 그린 (1954), 제임스 딘의 고독한 눈빛이 인상적인 (1955) 등 총 7편을 상영한다. 엘리아 카잔은 1950년대 이후 할리우드에서 사회·정치적 이슈 뿐 아니라 인종·가족 등 다양한 소재를 아우른 작품을 연출했다. 1945년 로 데뷔한 후 예리하고 사실적인 시선을 작품에 반영한 주옥같은 할리우드의 명작을 만들어 미국영화의 특징을 대..
2010.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