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별전/다큐멘터리의 진실의 정치학

"청계천은 역사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공간이라 흥미로웠다"

[시네토크] <청계천 메들리>의 박경근 감독

최근 한국 다큐멘터리는 단순히 소재의 무거움에 함몰되지 않고 관객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형식의 실험과 사례의 활용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는 9월 1일부터 8일까지 '다큐멘터리의 진실의 정치학'이란 제하로 최근 한국 다큐멘터리의 주목할 만한 8편의 작품을 모은 특별전을 열고 있다. 이 중 지난 9월 2일 저녁에는 탈다큐멘터리적인 다큐로 새로운 형식의 보여준 <청계천 메들리>가 상영되었고, 상영 후 이 영화를 연출한 신예 미디어 아티스트 박경근 감독과의 대화가 이어졌다. 그 현장의 일부를 여기에 전한다.


허남웅(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이번 프로그램은 다큐멘터리 진실의 정치학이다. 보신 작품은 <청계천 메들리>. 박경근 감독님이 연출하셨는데 다큐멘터리면서 탈다큐적인 작품이었다. 다큐멘터리라고 프로그램에 넣었지만 애니메이션도 등장하고 극영화 같은 성격도 보인다. 음악사용도 독특했다. 단순히 다큐멘터리로 설명하긴 부족한 면이 있는 듯하다. 어떤 생각으로 작품 준비하셨는지 궁금하다.
박경근(영화감독, 미디어 아티스트): 2004년부터 미술가그룹에서 활동했다. 거기서 청계천 지역과 서울의 도시 환경을 기록하는 작업을 했다. 청계천을 아카이브화 하는 미술작업을 했다. 그러다가 지원을 받아 영상작업을 하게 되었고 제가 영상파트를 커미션 받아 하게 되었다. 청계천이 저에게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것은 서울의 얼마 남지 않은 역사의 흔적 같은 것이 남아있는 공간이라서 서울 어느 공간보다 자연스러운 공간인 것 같다. 흔적 같은 것이 자연스레 쌓여있는 공간, 그런 것에 매력을 느꼈다. 공포 영화세트 같은 매력적인 공간이다. 그래서 끌렸다.

허남웅
:
영화를 보면 개인사도 느껴진다. 어려서부터 감독님 아버님이 외교관이셔서 해외를 많이 돌아다녔다고 알고 있다. 그런 가족사로 들어가게 된 경위에 대해 알고 싶다.
박경근: 영화를 편집할 때 이 스토리를 어떻게 만들까 고민을 많이 하는데 사실 찍을 때는 아무 생각 없이 찍었다. 매일 가서 일상적인 것을 찍고 재미있는 일 생기면 찍었다. 다큐 작업이 거의 70~80퍼센트는 편집으로 만드는 것 같다. 편집하면서 스토리들을 만들어 나갔다. 개인적인 이야기 중 반은 픽션이고 반은 사실이다. 하지만 편집에서 지키려고 노력한 건 하나 있다. 항상 내가 외부인의 시선을 가지고 있다는 걸 숨기지 말아야겠다는 것이다. 제가 청계천에서 자란 것도 아니고, 말씀하셨듯이 외국에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외부인으로써 들어가서 카메라 앞의 대상들과 생기는 관계, 거기서 생기는 충돌들을 드러내고 싶었다. 그런 부분을 신경 많이 썼다.

허남웅: 거창하지만 다큐멘터리의 윤리라고 하면 진실을 말하는 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감독님은 픽션이 가미 되었다고 하셨는데.
박경근: 일반적으로 그런 이야기를 하는데 다큐멘터리는 픽션적인 부분이 많다. 진실이다, 믿어라 하는 다큐멘터리는 싫어한다. 왜냐면 어차피 카메라를 들어서 들이 대는 게 가공이다. 그걸 무시하고 작업을 진행하면 허상이 너무나 자세하게 나온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지 자체가 허상이라는 걸 인식하면서 작업하는 것과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은 차이가 많은 것 같다.

허남웅
:
이 다큐멘터리는 탈다큐멘터리적인 형식이라고 말 할 수 있을 것 같다. 영화 보면 청계천의 쇠를 다루는 노동자, 그러니까 쇠를 가지고 이야기를 다룬다.
박경근: 제가 이걸 찍을 때 이런 형식을 하겠다라는 생각은 안 했다. 찍고 편집하려다 보니 뭔가 이게 기존 방식으로 표현하려던 것들을 못하는 한계에 이르렀다. 내용이 큰 드라마가 있는 것도 아니고 투쟁을 하는 것도 아니고 중요한 건 청계천에 대한 뭔가 보편적인 의미를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하다가 이런 형식이 되었다.

허남웅: <청계천 메들리>가 영화제에서 주로 상영되었다. 아직 정식 개봉을 한 것은 아니다. 극장에서 상영이 되기도 했지만 설치미술로 전시되기도 했다. 사실은 아핏차퐁 감독의 <엉클 분미>도 그런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그런 부분에 대해 더 자세한 설명을 듣고 싶다.
박경근: 미술하는 사람이 영화를 만들고 하는 게 많이 있는데, 요새는 더 많이 부각 되는 것 같다. 본질적인 의미에서 경계는 없다라고 생각한다. 왜냐면 영화라는 자체가 이미지로서 체험하는 것이라 내러티브가 있던 없던 우선 이미지로 체험하고 그 후에 이야기를 받아 들인다고 생각한다. 제가 미술관에서는 설치미술을 내러티브없이 이미지로만 5채널로 5개의 스크린으로 했는데 이미지로 표현이 다 되었다고 생각한다. 미술관과 영화관이 이미지를 체험하는 방식이 궁극적으로는 비슷하다고 본다.


허남웅: 갑자기 궁금해진다. 감독님의 직업이 영화감독인지 미디어 아티스트 인지?

박경근: 영화관에 오면 감독 미술관가면 작가라고 한다.

허남웅: 인간의 역사라기보다 쇠의 역사를 통해서 인간을 본다라는 느낌이 있다. 인간이 오히려 뒤로 물러나는 느낌을 받았다. 이걸 처음부터 의도 하신 건지? 편집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인지?
박경근: 그 아이디어는 촬영하면서, 관찰하면서 생각한 건데 여기 나오는 기술자 분들의 종목,  예를 들어 선반 돌리는 분, 쇠 주물을 하시는 분, 목형 만드시는 분, 이런 다양한 기술하는 기술자 성격이 달랐다. 주물은 작업을 같이해야 한다. 누가 쇠를 부으면 누가 받아야 한다. 영화에 나왔듯이 여러 명이 작업한다. 그래서 사람간의 관계가 더욱 친밀하고 더욱 끈적한 관계다. 맨날 작업하다가 술 마시러 간다. 그러나 정밀분야는 항상 혼자다. 정밀은 세밀하게 1mm 가지고 고민한다. 그렇다면 이분들의 성격을 사실 그러한 쇠 자체가 바꾸는 게 아닐까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따지면 인간이 쇠를 다루는 게 아니라 쇠가 인간을 다듬는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 이야기를 확장하자면 문명에 대한 이야기도 되겠다. 산업화가 인간을 위한 게 아니라 산업화를 위해 인간이 희생되는 주체 객체가 바뀌는 그런 현상이 생각 외로 많은 것 같다.

허남웅: 감독님의 작업은 정체성을 찾아가는 작업으로 보인다.
박경근: 제 생각에는 종은 창작물은 자기에 대한 성찰이나 반성이 들어가 있지 않으면 힘이 없다고 보인다. 카메라 앞의 대상만 중요시하는 진실을 봐라이런 류의 다큐의 힘이 부족한 이유가 예전 보다 정보가 많고 이야기도 많다. 그래서 무슨 이야기보다는 그 이야기를 어떻게 전달하고 누가 이야기할건지가 중요해 질 것 같다. 좋은 작품은 자아성찰이나 자기의 반성이 꼭 들어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허남웅: 이번 작업 끝내고 또 다른 계획이 궁금하다.
박경근: 다음은 군대에서 있던 일을 소재로 다루려고 한다. 악몽 시리즈의 하나다. 사회가 문제지만 나의 문제이기도 하다. 내가 가진 문제들이 사회 문제기도 하다.

허남웅: 한국인이라면 군대체계가 우리 사회에 박혀있어서 이것이 공포로 다가온다. 감독님에겐이것이 더 크게 작용하지 않았을까?
박경근: 군대는 싫다. 다 똑같이 느낄 거다.

허남웅: 이 작품을 보면 경계의 영화라는 생각이 든다. 모든 것이 경계에 있고 다큐멘터리면서 아닌 부분도 있고 말이다. 어느덧 시간이 지나 마무리를 지어야 할 때다. 끝으로 다큐멘터리 작업하시면서 매체의 매력, 여전히 알 수 없는 미지의 것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싶다.

박경근: 매체는 그다지 중요한 것은 아닌 것 같다. 매체를 쓸 때 그 매체를 어떻게, 누가 쓰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미디어 아트의 장점은 빛을 이용한 장점이라고 본다. 기존의 조형물 보단 더 가벼운 표현방식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동시성, 그런 것 들을 포착해내는 것이 미디어 아트가 아닌가 정의를 내리고 있다.

정리: 정태형(관객 에디터) 사진: 조유성(자원 활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