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별전/우리 시대의 프랑스 영화 특별전

[리뷰] 압델 케시시의 <블랙 비너스>

검은 여신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사랑과 미와 풍요의 여신 '비너스'를 떠올릴 때 우리가 머릿속에 그리는 이미지는 대개가 하얀 피부를 가진 백인에 가깝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생각이 온전한 과정에서 이뤄진 걸까. 다시 말해, 비너스가 반드시 백인이어야 할 이유는 무얼까. 만약 비너스가 흑인이었다면 우리는 그를 어떤 이미지로 기억할 것인가. '만약'이라는 수식어를 붙였지만 실제로 이런 일이 있었다. 압델 케시시 감독의 <블랙 비너스>(2010)는 흑인 여자가 어떻게 대상화되었는지를 '사트지 사라 바트만'의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사트지는 1770년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태어났지만 노예 신분으로 유럽으로 건너와 서커스 쇼에서 사람들의 볼거리로 전락한다. 아프리카 흑인을 미개인으로 바라보는 유럽인들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동물에 가까운 '연기'를 하는 것이다. 우리 안에 갇혀 울부짖는가 하면 우리를 빠져나와 음악에 맞춰 춤도 추는 등 인간에 가까운 행동으로 환호를 받는다. 하지만 수치심을 참다 못 한 사트지는 공연 중 눈물을 흘렸다가 '인간'(?)인 사실이 발각되어 이용 가치가 떨어진다. 그래도 살아야했기에 거리의 여자로 연명하던 사트지는 결국 성병에 걸려 1815년 사망한다.

압델 케시시가 <블랙 비너스>에서 카메라를 운용하는 방식은 사트지를 향한 유럽인들의 시선과 이 때문에 고통스런 그녀의 심정을 양가적으로 반영한다. 사트지가 '연기'를 하는 장면에서는 철저히 거리를 유지하며 대상으로써 바라보는 유럽인들의 인식을 보여준다면 그녀의 얼굴에 가까이 다가 선 카메라는 표정에 서린 수치심을 포착하는 데 주력하는 것이다. 고통의 감정이 인간임을 나타내는 증거라고 할 때, 이와 같은 영화의 시선을 통해서 우리는 극 중 유럽인들에게서 그들이 미개인으로 바라보는 사트지보다 더 야만적인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렇다고 이 영화가 유럽인들의 시선을 부정적인 쪽으로만 단순화하는 건 아니다. 편협한 시선을 비판하면서 이들을 향해 특정한 시각으로 곡해할 수 있는 함정의 소지를 빠져나가는 것이다. 하여 극 중 인물들 대부분이 사트지를 미개인 혹은 야만인으로 바라보는 가운데서도 그녀에게 사랑을 느끼고, 보호본능을 발휘하는 유럽인을 등장시킴으로써 입체적인 시선을 견지하는 건 이 때문이다. 오히려 <블랙 비너스>는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되는 편견의 학술화에 우려의 시선을 보낸다.

실제로 사트지의 사망 후 프랑스 과학자의 손에 넘겨진 시신은 박제되어 그녀의 종족과 오랑우탄 간의 유사성에 대한 연구에 활용되었다(영화는 이를 오프닝 장면에 배치한 후 그들이 미개인이라 일컫는 사트지가 실은 인간이었다는 사실을 담담히 밝혀 나간다). 심지어 파리의 자연사 박물관에 넘겨져 1974년까지 전시되었을 정도다. 이는 아프리카 흑인에 대한 유럽인들의 시선이 오랜 시간, 심지어 지금까지도 얼마나 고착화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방증이기도 한 것이다.

사트지를 연기한 야히마 토레스는 <블랙 비너스>가 연기 데뷔작이었다. 압델 케시시는 <블랙 비너스>의 전작인 <생선 쿠스쿠스>(2007) 당시 야히마 토레스를 일찍이 점찍어두고 그녀에게 사트지를 이해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었다. 아무리 연기라지만 사트지의 인생을 감당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필요했던 탓인데 야히마 토레스는 감독의 기대에 부응하며 충격적인 영화의 결말만큼이나 인상적인 연기를 펼쳐 보인다.

 

글/ 허남웅(영화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