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고전/영혼의 목소리: 알렉산더 소쿠로프 회고전

[알렉산더 소쿠로프 회고전] 권력의 섬뜩함 - 알렉산더 소쿠로프의 <몰로흐>

권력의 섬뜩함

- 알렉산더 소쿠로프의 <몰로흐>





알렉산더 소쿠로프의 ‘권력 4부작’ 중 첫 번째 영화인 <몰로흐>는 히틀러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권력의 민모습을 보여주는 영화다(두 번째 영화인 <황소자리>는 레닌을, <태양>은 히로히토 일왕을 등장시켰다. 구체적인 뉘앙스는 조금씩 다르지만 절대적인 권력을 누렸던 자들의 ‘평범한’ 일상을 그린다는 점에서 세 영화는 같은 화법을 취한다. <파우스트>는 전작들과의 관계 안에서 이야기하려면 다른 접근법이 필요할 것이다). 감독은 히틀러의 권력이 기세등등하던 1942년을 배경으로 히틀러와 괴벨스, 히틀러의 부관이었던 마틴 보르만, 그리고 히틀러의 애인인 에바 브라운 등이 알프스의 고립된 저택에서 보내는 하루를 그린다.

그런데 정치적,역사적으로 굵직한 인물들이 등장한다고 해서 특별한 사건이나 팽팽한 긴장이 가득한 분위기를 그리는 건 아니다. 반대로 감독은 그냥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는 일상적인 풍경을 그린다. 밥을 먹고 술을 마시고 춤을 추고 잠자리에 드는 그런 보통의 풍경들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받아들이기에 따라서는 <몰로흐>가 허무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심지어 몇몇 장면은 블랙 코미디 같다는 느낌마저 준다. 이를테면 국가 운영 전반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마틴 보르만은 그 육중한 덩치 때문에 의자에서 뒤로 넘어지는 ‘몸개그’를 선보이며, 히틀러는 눈밭에 나가 용변을 보는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에바와의 잠자리를 피하려는 히틀러의 신경질과 우울증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처럼 감독은 최고 권력자들이 지닌 인간적인 모습들을 노골적으로 강조하며 이들이 두른 상징적 이미지를 부순다.


소쿠로프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죽음’이라는 근본적인 문제까지 끌어들인다. 이미 영화가 시작할 때 감독은 죽은 개와 그 사체가 뿜는 악취를 강조하며 이 영화에 죽음의 기운을 드리운다. 그리고 틈틈이 무기력하게 늘어진 히틀러를 보여준 뒤, 마지막 장면에서 에바로 하여금 다음과 같이 히틀러에게 말하게 한다. “죽음을 피할 수 없어요.” 즉 <몰로흐>는 수백 만명의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고 간 주역들을 등장시킨 뒤 이들을 조롱하고, 나아가 이 권력자 역시 죽음을 맞을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즉 히틀러 역시 약한 인간일 뿐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겉으로 드러난 <몰로흐>의 이런 주제는 일견 당연한 것이기에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너무 보편타당한 이야기를 역사의 특별한 사례에 적용시킬 때는 어떤 허무함이 동시에 발생하기도 한다.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을 학살한 권력자 중 하나인 히틀러도 죽음이라는 절대적 관점에서 보면 한 명의 초라한 인간일 뿐이라는 허망한 결론 말이다. 관점에 따라서는 히틀러에 대한 연민으로도(‘그 역시 인간적인 면모를 갖춘 보통 사람이었다’), 또는 역사에 대한 지독히 냉소적인 태도(‘히틀러가 죽인 피해자들과 마찬가지로 그 역시 결국 죽고 말았다’)로도 읽히는 <몰로흐>의 이런 접근 방식은 어떤 당혹감마저 안겨준다. 영화 공개 후 작품과 소쿠로프에 대해 반동적이라는 비판이 나온 건 어찌보면 자연스러운 귀결이었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한 동의 여부를 잠시 미뤄놓고 생각해보면 <몰로흐>는 절대적인 권력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 처음부터 다시 질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몰로흐>는 히틀러의 인간적인 약함 그 자체에 방점을 찍기 보다는 이를 통해 ‘히틀러’로 상징되는 절대적인 권력을 명쾌하게 설명하고 규정짓는 게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걸 드러내려 한다. 이미 작동 중인 절대적인 권력과 그 권력을 가졌다고 여겨지는 권력자 사이에 필연적인, 또는 개연성 있는 연결 고리가 없음을 폭로하는 것이다. 즉 <몰로흐>는 권력의 비인간적인 속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영화에 그려진, 히틀러가 가졌다고 가정되는 권력은 더욱 공포스러운 것으로 다가온다. 그것은 논리적인 이해 너머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저렇게 무기력해 보이고 죽음을 피할 수도 없는 히틀러가 어떻게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를 수 있을까, 란 질문. 그리고 그렇게 행사되는 권력이 불러들인 파국 앞에 어떤 그럴듯한 설명도 내놓을 수 없을 때 발생하는 무력감과 공포.


그런 맥락에서 <몰로흐>의 가장 문제적인 장면 중 하나를 보자. 히틀러와 측근들이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던 도중 에바 브라운이 마음에 안 드는 자들을 아우슈비츠로 보내자는 농담을 한다. 그러자 히틀러는 묻는다. “아우슈비츠? 아우슈비츠가 어디지?” 분위기는 금새 냉랭해지고, 사람들은 서둘러 화제를 바꾼다. 많은 전범들이 실제로 홀로코스트의 존재를 부인했음을 상기하면 이는 끔찍한 농담이자 도발적인 문제 제기다. 그러나 이 장면은 히틀러의 권력이 실은 이미 히틀러라는 개인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있었음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수백 만명의 사람들이 죽어가는 가운데 정작 ‘권력의 핵심’이라 여겨지는 인물이 그걸 모르고 있었다는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말이다.

그렇기에 <몰로흐>는 관객을 혼란스럽게 만든다. 다시 강조하자면, 이 영화는 권력과 권력자의 성격에 대해 어떤 명쾌한 설명을 제시하기 보다는 이 문제에 대해 근본적인 차원에서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이를 통해 다른 어떤 영화보다 2차 대전 당시의 역사를 오싹하게 느끼도록 만든다. 우스꽝스러운 언행을 보이는 영화 속 권력자들이 즐겁게 노는 모습과 전쟁으로 부서져 가는 세상의 이미지가 아무렇지 않게 같이 제시될 때 권력은 결국 불가해한 것으로 남기 때문이다. 즉 <몰로흐>가 그리는 건 우리의 이해 자체를 거부한 채 버티고 서 있는 권력의 섬뜩한 모습 그 자체이다.



김보년 프로그램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