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2. 24. 17:00ㆍ2010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상영작 소개
[영화읽기] 존 포드의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
우리는 영화를 보면서 많은 것을 얻는다. 즐거움을 얻기도 하고, 감동에 젖기도 하며, 무언가를 배우기도 한다. 특히 자신의 삶의 가치관이나 기억을 환기시키는 영화는 더욱 특별한 작품으로 남는 경우가 많다. 존 포드의 가장 빼어난 드라마중 하나인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1941)는 거기에 담긴 감정이 너무도 보편적이고 진실해서, 누구에게라도 그러한 특별한 작품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 영화는 고전적 형식미의 완결성과 전형적인 가족멜로드라마적인 이야기만으로 인간적인 삶의 가치를 그려낸다.
영화는 웨일즈의 한 탄광촌에서 살아가는 모건 가족의 이야기다. 막내인 휴는 자신 인생의 정점에서 유년기의 가족과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회상한다. “나의 계곡은 얼마나 푸르렀던가!”라는 회상. 집안에 위치하던 카메라는 유연하게 창밖으로 이동하며 그 회상을 표현한다. 그곳은 계곡의 정점에 탄광이 있고, 거기서부터 내려오는 길가를 따라 집들이 정렬해 있는 작고 소박한 마을이다. 모건 가족의 아버지와 형제들은 모두 탄광에 다닌다. 일이 끝나면 일당을 받고, 다 같이 집에 와 몸을 씻으며 저녁식사를 한다. 지극히 평화롭고 행복해 보이는 평범한 가정이다. 휴는 “아버지는 우리들의 머리였고, 어머니는 심장이었다”라고 회상한다.
영화는 애상에 젖어 말한다. 어떤 일이 발생했더라도 삶은 그 자체로 흘러왔으며, 인생의 정점에서 돌이켜 볼 때 그 시절은 더없이 아름다웠다고. 이는 아일랜드 이민 2세대인 포드가 가진 ‘아일랜드에 대한 근원적인 그리움’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 영화는 어린 시절에 보았다면 평생 어떠한 유년의 기억처럼 그리움으로 남을 수 있고, 나이가 지긋이 든 후에 본다면 삶을 뒤돌아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우리는 바로 이러한 영화를 ‘고전’이라고 부른다. (박영석)
'2010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 상영작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머에 존재하는 믿을 수 없는 진실 (0) | 2010.02.25 |
---|---|
경계를 다룬 포드 서부극의 원형 (0) | 2010.02.24 |
파솔리니의 <마태복음> - 대화의 영화 (0) | 2010.02.24 |
윌 로저스의 마지막 작별 인사 (0) | 2010.02.21 |
시네마테크 사태로 본 <이유없는 의심>과 <오데트> (0) | 2010.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