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별전

‘송두율’ 그는 누구인가, 개인에 대한 밀착과 거리두기 [영화읽기] 홍형숙 감독의 와 중반부에 송두율 교수가 방에 들어왔을 때, 감독이 더 이상 영화를 찍는 것을 진행시켜야 되는지에 대해서 고민하는 장면(대사)이 있다. 만약 그때 카메라의 전원을 껐다면 아마도 우리는 이 작품을 볼 수 없었을 것이다. 그 상황에서 제기되는 두 가지의 고민은 아마 영화를 찍는 일을 계속 진행해야 하는지와 계속 찍는 것을 선택한다면 송두율 교수와 카메라의 거리를 어느 정도로 유지할 것인가 일 것이다. 이는 총체적 문제의식이다. 즉 와 는 진행(혹은 지속)과 거리두기에 대해서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으며, 이는 영화 속 인물과 관객에게도 무관하지 않다. 송두율 교수는 경계인으로서의 삶을 지속하기 위해 남과 북에 거리를 두려고 하지만(그것은 그의 이론이기도 하다) 실천이 그렇게 마음처럼.. 더보기
흑백논리의 제국을 집요하게 파헤치는 영화 [영화읽기] 홍형숙 감독의 와 와 는 간첩혐의로 입국금지처분을 받은 제독철학자 송두율 교수의 귀국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다. 2000년에 촬영을 시작해 2002년에 제작되었던 는 홍형숙 감독이 베를린에 머물며 송두율 교수의 한국방문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을 다룬다. 2000년 송두율 교수는 꿈에 그리던 고국방문을 눈앞에 둔 상황이었고 영화는 한국에 돌아오기를 준비하는 송두율과 그의 부인 정정희 여사의 설레는 마음을 깊게 밀착해서 잡아낸다. 는 송두율 교수가 조국으로부터 부당한 피해를 받는다는 것을 전제로 한 채 시작된다. 영화의 초반, 홍형숙 감독은 과거에 장벽으로 둘러싸였던 베를린의 거리를 보여주며, 베를린 사회 속에 남과 북의 경계인으로서 살고 있는 송두율이라는 인물에 다가선다. 송두율 교수의 집에 .. 더보기
서울아트시네마 후원을 위한 ‘경계도시’ 특별상영 시네마테크 전용관 서울아트시네마는 오는 3일, 4일 양일간 홍형숙 감독의 와 를 함께 상영하고, 4일 오후 1시 상영 후에는 감독과 관객과의 대화 시간도 갖는다. 는 한국사회가 낳은 영원한 경계인 재독 철학자 송두율 교수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영화. 2002년 선보인 가 간첩 혐의를 받으며 35년간 입국금지 상태였던 재독 철학자 송두율이 재차 귀국을 시도하다 좌절되는 과정을 인물 중심으로 풀어낸 작품이라면, 이번에 개봉한 는 2003년, 마침내 37년 만에 귀국하게 된 송두율과 그를 둘러싸고 벌어진 대한민국 이데올로기의 광풍을 적나라하게 기록한 작품이다. 과 사이의 시간적 간극은 7년으로 는 다큐멘터리치고는 상당히 긴 시간 동안 작업을 했다. 홍형숙 감독이 한 인터뷰에서 “태풍의 시간을 통과한 후에 시.. 더보기
배우들의 영화감독 '엘리아 카잔 특별전' 열려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가 4월 첫 프로그램으로 배우들의 영화감독이라 불리는 엘리아 카잔(1909~2003)을 조명하는 특별전을 연다. 오는 6일부터 18일까지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리는 이번 '엘리아 카잔 특별전'에서는 테네시 윌리엄스의 소설을 각색한 영화 (1951)를 비롯해 '냉정한 리얼리즘'을 반유대주의를 소재로 하여 보여준 (1947), 노동자와 자본 계급 간의 대립을 그린 (1954), 제임스 딘의 고독한 눈빛이 인상적인 (1955) 등 총 7편을 상영한다. 엘리아 카잔은 1950년대 이후 할리우드에서 사회·정치적 이슈 뿐 아니라 인종·가족 등 다양한 소재를 아우른 작품을 연출했다. 1945년 로 데뷔한 후 예리하고 사실적인 시선을 작품에 반영한 주옥같은 할리우드의 명작을 만들어 미국영화의 특징을 대.. 더보기
우리는 어떻게 영화아카데미를 졸업하고 첫 영화를 만들 수 있었나 ❹ 로 데뷔한 임상수 감독 편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나흘간 서울아트시네마에서는 ‘한국영화아카데미, 그들의 데뷔작을 만나다’라는 제명으로 영화아카데미 출신 감독 4인의 데뷔작을 상영하고 매 저녁마다 관객과 아카데미 출신 선후배 감독들이 함께 만나는 특별 대담 행사를 가졌다. 마지막 날이었던 19일 저녁에는 임상수 감독의 를 상영한 후, 임상수 감독과 그의 후배인 의 임찬상 감독, 의 장건재 감독이 참여하여 대담을 벌였다. 며칠 전 여섯 번째 연출작인 촬영을 끝냈다던 임상수 감독의 솔직하고 거침없는 입담이 눈길을 모았던 그 현장을 전한다. 김성욱(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영화아카데미를 졸업하고 나서 데뷔작으로 이 영화를 만들었는데, 그 과정을 간단하게 들려 달라. 임상수(영화감독): 사실은 시나리오를 .. 더보기
한국영화아카데미, 어떻게 할 것인가 지난 18일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한국영화아카데미 총동문회가 주최하는 포럼이 열렸다. ‘한국영화아카데미, 어떻게 할 것인가’를 토픽으로 열린 이날 포럼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의 편장완 교수가 사회를 맡고, 명지대학교 영화과 황규덕 교수, 건국대학교 영화과 송낙원 교수, 계원조형예술대학교 이용배 교수 등이 발제자로 나섰으며, 영화계 원로 하명중 감독과 영화평론가 정성일, 민주당 최문순 의원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원래 일정은 2시간여 동안 1부 발제, 2부 토론 시간으로 나눠 진행키로 했으나 발제에 앞서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 조희문 위원장이 현 영화아카데미 문제에 대한 영진위의 입장을 설명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며 먼저 발언을 시작했다. 조희문 위원장은 “공공영역에서 이뤄지고 있는 영화인력 양성을 담당.. 더보기
우리는 어떻게 영화아카데미를 졸업하고 첫 영화를 만들 수 있었나 ❸ 으로 데뷔한 이수연 감독 편 현재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한국영화아카데미, 그들의 데뷔작을 만나다’라는 특별전이 열리는 가운데 매 저녁마다 영화아카데미 출신 감독들과 관객이 함께 만나는 특별 대담행사가 진행중이다. 사흘째를 맞은 18일 대담에는 이 상영된 후, 이 영화로 데뷔한 이수연 감독과 의 모지은 감독, 의 백승빈 감독이 함께했다. 앞서 진행된 한국영화아카데미 포럼으로 인해 상영과 대담이 다소 늦어졌지만 세 감독의 열띤 이야기가 오고 갔던 흥미로운 시간이었던 그 현장의 일부를 옮긴다. 김성욱(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공포영화를 잘 안보는 편인데 영화 보고 나서 특이한 느낌을 받았던 영화 중 하나였다. 2003년에 개봉했으니 지금으로부터 7년 전의 영화인데 간단하게 당시 상황을 이야기해주셨으면 좋겠다.. 더보기
우리는 어떻게 영화아카데미를 졸업하고 첫 영화를 만들 수 있었나 ❷ 로 데뷔한 이영재 감독 편 현재 서울아트시네마에서는 ‘한국영화아카데미, 그들의 데뷔작과 만나다’라는 제목으로 4인 감독의 데뷔작이 상영되고 있다. 또 매 저녁마다 ‘우리는 어떻게 한국영화아카데미를 졸업하고 첫 영화를 만들 수 있었나?’라는 주제로 영화를 만든 감독과 아카데미 선후배 감독들이 함께 참여하는 특별대담 행사가 진행 중이다. 그 둘째 날, 이영재 감독의 데뷔작 이 상영된 후, 서울아트시네마 김성욱 프로그래머의 진행으로 이영재 감독과 그의 후배인 의 강이관 감독이 조촐하고 아늑한 분위기 속에서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이영재 감독은 현재의 관객들이 10년 전 영화의 리듬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하다며 관객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듣고 싶어 했고, 관객들은 열띤 질문으로 그에 답했다. 김성욱(서울아트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