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별전/허우 샤오시엔 전작전 - 최호적시광

[허우 샤오시엔 전작전] <빨간 풍선> 리뷰 - 풍선의 시선

풍선의 시선

- <빨간 풍선>





송과 시몬이 거리에서 처음 만난다. 둘은 열쇠를 맞추고 빵을 사면서 잠시 길을 거닌다. 송은 자신이 영화를 공부하는 학생이라고 소개하며 “<빨간 풍선>이라는 영화를 봤느냐”고 시몬에게 묻는다. 여기에서 <빨간 풍선>은 알베르 라모리스가 1956년에 만든 단편 영화이다. 시몬은 “못 봤다”라고 대답하며 걸음을 옮긴다. 송은 시몬이 지나간 자리에 놓인 건물 벽에 그려진 빨간 풍선을 발견하고는 그것을 찍는다. 라모리스의 영화에서 빨간 풍선은 가시적인 것임이 분명했다. 소년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풍선의 존재를 알 수 있었다. 물론 다른 이들에게 풍선은 별 관심 없는 성가신 물건이거나 눈에 띄기에 빼앗아 없애고 싶은 것일 뿐이었지만 말이다. 영화 내내 빨간 풍선이 아른거렸던 1956년작과는 달리 허우 샤오시엔의 <빨간 풍선>에서 풍선은 초반과 후반에만 드러날 뿐 빨간 풍선이 시각적으로 중심이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빨간 풍선은 마치 영화 내내 가시적인 영역 안에서 머무르고 있었던 것처럼 느껴진다. 그 이유는 첫째로 카메라의 시선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빨간 풍선>을 두고 시점에 대해 언급한다. 특히 카메라의 시선이 마치 풍선의 시선처럼 느껴진다는 점은 자주 지적된다. 카메라는 늘 미세하게 움직이며 때로는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컷 없이 잇기도 하는데 이는 공기를 타고 미세하게 움직이는 풍선의 그것처럼 보인다. 라모리스가 풍선을 소년과 가장 가까운 우정을 나누는 친구처럼 그리면서 풍선을 인간에 가깝게 끌어왔다면 허우 샤오시엔은 다시 인간에게 풍선에 가까이 다가가 보라고 제안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니까 관객은 영화 속에서 관찰자인 것이 아니라 비가시적인 존재가 되어 소년과 그의 가족 곁에 머물러야 한다.





풍선의 시선은 영화 안팎의 또 다른 시선들과 만난다. 그 시선은 감독 허우 샤오시엔의 것이기도 하고 감독의 분신처럼 보이는 극 중 감독 송의 것처럼도 보인다. 무엇보다 그것은 거기 분명히 있었으나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혹은 더는 인식하지 않게 된 모든 사물 혹은 기억의 시선처럼도 보인다. 기억을 언급한 이유는 풍선을 관찰하는 대신 풍선의 시선을 담지하면서 풍선이 영화 속에서 보이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영화는 기억의 시선처럼 보이는 장면을 삽입한다. 시몬이 송에게 사촌 루이즈에 대해 이야기 할 때 카메라는 패닝을 하다가 계단을 비추는데 이윽고 소년과 사촌 루이즈의 과거 모습이 등장한다. 이 장면은 내재한 과거가 보이지 않는 말을 통해 자극돼, 불쑥 모습을 드러내는 것 같다.


시몬의 어머니인 수잔이 중국 전통 인형극 변사라는 것도 흥미롭다. 변사, 그리고 인형을 움직이는 사람들은 비가시적인 존재들이다. 그들은 숨어서 축 늘어진 거적때기일 뿐일 인형을 살아있는 것으로 만들어주는 이들이다. 그들의 열정을 담은 목소리와 움직임이라는 헌신은 나의 거적때기 같은 삶을 지탱하게 한 많은 이들의 잊었던 헌신과 열정을 떠올리게 한다. 감정을 시각화한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은 <빨간 풍선>의 다른 버전의 이야기일지도 모르겠다. <인사이드 아웃>이 비가시적인 존재, 특히 기억의 영역을 바깥으로 형상화해 보여줬다면 <빨간 풍선>은 기억 속으로 인간을 데려간다. 그 속에서 관객이 경험하게 되는 것은 ‘있음’ 그 자체가 주는 존재의 오롯한 감각이다.

김소희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