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Review(36)
-
현대 코미디 역사의 전위 - 테리 길리엄의 ‘몬티 파이튼의 성배’
1975년에 가 공개되었을 때, ‘몬티 파이튼’은 TV 시리즈를 통해 이미 하나의 컬트 현상이 되었다. 골계미마저 느껴지는 풍자와 비틀린 유머로 점철된 저예산 소모성 코미디인 ‘몬티 파이튼’ 시리즈는 3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현대 코미디 역사의 전위로 불리고 있다. 는 그 중에서도 이 우상파괴적인 코미디 시리즈의 원형이 보존되어 있는 대표작으로 꼽힌다. 특히 여기에는 시리즈의 골수팬들이 열광하는 전설적인 장면들이 수두룩하게 들어가 있다. 는 TV 시리즈에서부터 이어진 코믹한 패러디 각본을 모델로 삼고 있다. 왕 중의 왕이 되기 위해 성배를 찾으려는 아더 왕의 이야기를 패러디 한 스토리는 특별한 중심 모티프 없이 제멋대로 전개된다. 서기 932년 잉글랜드, 아서 왕(그레이엄 채프먼)은 카멜롯으로 성배를..
2011.02.10 -
폭력의 피카소 - 셈 페킨파의 '겟어웨이'
‘피 흘리는 샘’ 혹은 ‘폭력의 피카소’라 불린 샘 페킨파는 1960,70년대 아메리칸 시네마의 감독들 중에서 서부의 신화를 의문시하면서 가장 전복적이고 폭력적인 방식으로 영화를 만든 작가이다. 페킨파 영화의 독특한 시학은 베트남 전쟁, 정치적 암살 등으로 표출된 아메리카의 폭력적 에너지를 역사의 죄의식과 연결하는 것이다. 미국적 프런티어는 이제 물리적 여정이라기보다는 정신적이고 심리적이며 움직임의 선 또한 내부화된다. 방황하는 인물들의 폭력 또한 몸을 파괴하는 것에 머무는 것이 아니다. 차라리 영화적 이미지, 즉 표상의 질서를 파괴하는 폭력의 경향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69)의 말미에 보이는 극단적인 커팅, 수천 개의 쇼트로 구성된 장렬한 총격전은 줌 렌즈와 느린 화면들의 활용으로 폭력의 잔..
2011.02.10 -
재미로 치면 으뜸가는 서부극 - 혹스의 ‘리오 브라보’
할리우드가 거대 에픽에 현혹되어 있을 당시, 하워드 혹스도 왕과 왕비와 유사 역사가 뒤섞인 이야기에 도전했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이자 혹스의 친구인 윌리엄 포크너를 비롯해 수많은 혹스 사람들이 동원됐고, 이집트 로케이션을 감행한 영화엔 막대한 물적 자원이 투입됐으며, 만 명 가까운 엑스트라가 출연한 어마어마한 장면까지 연출됐다. 그러나 장르영화를 주물러온 혹스라 한들 모든 장르의 걸작을 만들 수는 없었다. 은 흥행에 실패한데다 평단의 혹평까지 들었다. 데뷔 이후 1년 이상 쉰 적이 없던 혹스가 4년이란 긴 시간을 할리우드와 멀리 떨어져 지내야 했던 이유는 그러하다. 유럽, 그 중에서도 프랑스 평단들의 애정 공세로 그나마 마음을 달랜 혹스는 1958년 봄에 드디어 애리조나의 촬영 현장으로 복귀한다...
2011.02.10 -
순수와 영혼의 구원 - 로베르 브레송의 <블로뉴 숲의 여인들>
의 흥행 실패는 제작자가 파산하고 브레송 자신도 칠 년 동안 메가폰을 잡지 못했을 정도로 어마어마했다. 이후 누벨바그리언에 의해 재발견된 이 작품은 사실 브레송 특유의 금욕적인 스타일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하지만 ‘감옥’이라는 모티브와 영혼과 구원에 관한 그의 관심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선악 대립 구도라는 장르적 요소를 차용했지만 기존 멜로드라마와 차별되는 여러 지점들로 당대에는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오늘날까지 호소력을 갖는다. 남편의 사랑을 시험해보는 헬렌(마리아 카사레스)은 기다렸다는 듯 서로를 자유롭게 놓아주자는 장(폴 베르나드)의 말에 분노와 모멸감을 느낀다. 한을 품은 헬렌은 은둔하며 조용히 살아가려는 전직 창녀 아녜스(엘리나 라부르데)에게 접근해 장과 결혼시킬 음모를 꾸민다. 아녜스는 도..
2011.02.08 -
마리오 바바의 가장 파괴적이고 음울한 로드 무비, ‘미친개들’
마리오 바바는 영화광들 사이에서 서로 은밀한 눈웃음을 교환하는 패스워드 같은 존재다. 마틴 스콜세지의 오랜 애정은 말할 것도 없고 슬래셔 무비의 원전으로 회자되는 (1971)는 존 카펜터가 (1978)을 만들며 그 주관적 시점 카메라를 응용했고, 쇠꼬챙이 살해 등 거의 리메이크라 해도 어색하지 않을 만큼 (1980)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웨스 크레이븐은 (1973)에서 얻은 영감으로 (1984)를 만들었고 팀 버튼은 (1999)를 통해 (1960)를 비롯한 그의 고딕호러 영화들에 오마주를 바쳤다. 쿠엔틴 타란티노가 (1963) 에피소드 구성으로부터 (1994)의 아이디어를 떠올렸다는 것도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의 ‘호러 여신’ 바바라 스틸에게 매혹된 데이빗 크로넨버그와 브라이언 드팔마의 경배는 또..
2011.02.07 -
마테오 가로네의 장편 데뷔작 ‘이민자들의 땅’
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린 마테오 가로네의 초기작은 최근작과는 성격이 많이 다르다. 등 원작소설을 끌어와 극영화를 만드는 최근과 달리 초기작들은 실제 삶에 초점을 맞춰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준다. 마테오 가로네의 장편 데뷔작 은 이민자들이 이탈리아에 터를 잡고 생활하는 모습을 세 개의 에피소드로 구성했다. 나이지리아 매춘부, 알바니아 소년 노동자, 그리고 이집트에서 온 주유소 직원 등 이민자 자신이 직접 출연, 인공성이 가미되지 않는 일상을 카메라 앞에 그대로 노출한다. 다만 그들이 발붙인 땅은 모든 것이 풍요로운 도시와 거리가 먼 메마르고 황량한 곳으로 그들의 이탈리아 내 삶이 얼마나 힘든지는 배경의 척박함으로 증명이 된다. 그 때문에 은 ‘가로네 버전의 네오리얼리즘’ 혹은 ‘1990..
2011.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