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무도 꾸지 않는 꿈

[Feature] 이들의 내밀한 고백을 듣는 방법, 혹은 이 난처함을 어떻게 할까 이번 “청춘이 말하고 카메라가 듣다 : 한국 다큐멘터리 특별전”에서 상영하는 영화들은 모두 솔직함과 친밀함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다. 작품별로 어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영화의 감독들은 모두 출연자들과의 가까운 관계를 바탕으로 영화를 연출했다. 이나 처럼 영화를 찍기 전부터 알고 지낸 경우도 있고 처럼 영화를 찍으며 친해진 경우도 있지만 둘 중 어느 쪽이든 연출자와 출연자들이 서로간의 정서적 연대와 신뢰를 바탕으로 함께 영화를 만들어나간 것은 확실하다. 만약 그러지 않았다면 출연자들은 자신의 속 깊은 이야기나 부끄러운 이야기들을 그렇게 솔직하게 다 털어놓지 못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관객은 타인들의 내밀하고 사적인 고백을 들으며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삶의 한 부분에 대해 떠올리고 내 삶의 고민도 공.. 더보기
[Feature] 기성세대의 훈수에 대한 청년세대의 응답 2007년 출간된 『88만원 세대』는 한국사회에 파란을 일으키며 비로소 엄연히 실존하나 제대로 이야기되지는 못했던 ‘청년’ 문제를 사회 전면에 부각시켰다. 비판도 한계도 숱하게 제기됐지만, 청년노동의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담론으로 제기되는 데에 이 책이 세운 공을 부정할 이는 아무도 없을 것이다. ‘세대론은 계급론을 반동적으로 대체하려는 퇴행’이라는 근본주의적 비판도 있지만, 이는 세대론의 유의미한 부분 모두를 부정하는 것처럼 여겨지는 다소 과한 비판이 아닌가 싶다. 다만, 이후 형성되고 확장된 세대 담론에서 유독 ‘청춘’, ‘청년’이라는 말이 부각되는 데에 다분히 ‘노동’과 ‘계급’이라는 개념에 대한 거부감이나 배제가 전제되고 있다는 의심을 지울 수는 없다. 사회의 양극화가 극심해진 상황에서 빈곤과 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