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송두율

7년의 대장정, 그 시간 동안의 거리 두기 의 홍형숙 감독을 만나다! 지난 3, 4일 양일간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한국사회가 낳은 영원한 경계인 재독 철학자 송두율 교수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영화 와 의 특별상영이 있었고, 4일 오후 1시 상영 후 이 영화를 만든 홍형숙 감독과 관객과의 대화의 시간이 마련되었다. 지구상에 유일하게 남은 분단국가, 바로 우리 한국사회의 모습을 다시금 들여다보고 생각해볼 수 있었던지라 많은 질문이 오갔던 그 만남의 시간을 일부 옮겨본다. 김성욱(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이 작품이 2003년도와 2004년도를 거치면서 2010년도에 모습을 보이게 됐는데 그 과정의 시간들을 잠깐 얘기해주신다면. 홍형숙(영화감독): 2000년에 1편 찍으러 베를린에 갔다. 송두율 교수를 처음 뵙고 그때부터 인연을 맺기 시작했는데 빠른 .. 더보기
‘송두율’ 그는 누구인가, 개인에 대한 밀착과 거리두기 [영화읽기] 홍형숙 감독의 와 중반부에 송두율 교수가 방에 들어왔을 때, 감독이 더 이상 영화를 찍는 것을 진행시켜야 되는지에 대해서 고민하는 장면(대사)이 있다. 만약 그때 카메라의 전원을 껐다면 아마도 우리는 이 작품을 볼 수 없었을 것이다. 그 상황에서 제기되는 두 가지의 고민은 아마 영화를 찍는 일을 계속 진행해야 하는지와 계속 찍는 것을 선택한다면 송두율 교수와 카메라의 거리를 어느 정도로 유지할 것인가 일 것이다. 이는 총체적 문제의식이다. 즉 와 는 진행(혹은 지속)과 거리두기에 대해서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으며, 이는 영화 속 인물과 관객에게도 무관하지 않다. 송두율 교수는 경계인으로서의 삶을 지속하기 위해 남과 북에 거리를 두려고 하지만(그것은 그의 이론이기도 하다) 실천이 그렇게 마음처럼.. 더보기
흑백논리의 제국을 집요하게 파헤치는 영화 [영화읽기] 홍형숙 감독의 와 와 는 간첩혐의로 입국금지처분을 받은 제독철학자 송두율 교수의 귀국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다. 2000년에 촬영을 시작해 2002년에 제작되었던 는 홍형숙 감독이 베를린에 머물며 송두율 교수의 한국방문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을 다룬다. 2000년 송두율 교수는 꿈에 그리던 고국방문을 눈앞에 둔 상황이었고 영화는 한국에 돌아오기를 준비하는 송두율과 그의 부인 정정희 여사의 설레는 마음을 깊게 밀착해서 잡아낸다. 는 송두율 교수가 조국으로부터 부당한 피해를 받는다는 것을 전제로 한 채 시작된다. 영화의 초반, 홍형숙 감독은 과거에 장벽으로 둘러싸였던 베를린의 거리를 보여주며, 베를린 사회 속에 남과 북의 경계인으로서 살고 있는 송두율이라는 인물에 다가선다. 송두율 교수의 집에 .. 더보기
서울아트시네마 후원을 위한 ‘경계도시’ 특별상영 시네마테크 전용관 서울아트시네마는 오는 3일, 4일 양일간 홍형숙 감독의 와 를 함께 상영하고, 4일 오후 1시 상영 후에는 감독과 관객과의 대화 시간도 갖는다. 는 한국사회가 낳은 영원한 경계인 재독 철학자 송두율 교수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영화. 2002년 선보인 가 간첩 혐의를 받으며 35년간 입국금지 상태였던 재독 철학자 송두율이 재차 귀국을 시도하다 좌절되는 과정을 인물 중심으로 풀어낸 작품이라면, 이번에 개봉한 는 2003년, 마침내 37년 만에 귀국하게 된 송두율과 그를 둘러싸고 벌어진 대한민국 이데올로기의 광풍을 적나라하게 기록한 작품이다. 과 사이의 시간적 간극은 7년으로 는 다큐멘터리치고는 상당히 긴 시간 동안 작업을 했다. 홍형숙 감독이 한 인터뷰에서 “태풍의 시간을 통과한 후에 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