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별전/한국영화아카데미, 그들의 데뷔작과 만나다

한국영화아카데미, 어떻게 할 것인가


지난 18일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한국영화아카데미 총동문회가 주최하는 포럼이 열렸다. ‘한국영화아카데미, 어떻게 할 것인가’를 토픽으로 열린 이날 포럼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의 편장완 교수가 사회를 맡고, 명지대학교 영화과 황규덕 교수, 건국대학교 영화과 송낙원 교수, 계원조형예술대학교 이용배 교수 등이 발제자로 나섰으며, 영화계 원로 하명중 감독과 영화평론가 정성일, 민주당 최문순 의원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원래 일정은 2시간여 동안 1부 발제, 2부 토론 시간으로 나눠 진행키로 했으나 발제에 앞서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 조희문 위원장이 현 영화아카데미 문제에 대한 영진위의 입장을 설명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며 먼저 발언을 시작했다. 조희문 위원장은 “공공영역에서 이뤄지고 있는 영화인력 양성을 담당하고 있는 아카데미의 역할과 방향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를 검토하는 일이 필요하다”면서, “현 문제에 대해서 영진위는 아직 아카데미를 어떻게 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가지거나 사업을 발표한 적이 없고 공석으로 되어 있는 한국영화아카데미 원장이 곧 선임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정치적인 시각에서 과거의 사례를 갖고 예단하지 말 것을 주문했는데, 조희문 위원장의 발언이 마무리될 무렵, 이용배 교수는 지난해 11월 11일 주무장관 업무보고서를 인용해서 조희문 위원장이 기능 축소와 재교육 중심으로 가겠다고 보고했던 것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날 포럼은 발제에 앞선 토론장 분위기로 흘러갔다. 조희문 위원장은 2012년 영진위의 부산 이전을 앞두고 기획재정부 차원에서 영화아카데미의 잔류 조건으로 영화인 재교육 중심으로의 기능 개편을 요구했다며 업무보고를 그렇게 했더라도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답했다.

 

조 위원장의 발언으로 불거진 토론 과정에서는 내년도 신입생 모집 요강도 발표하지 못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영화아카데미가 교육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의문이 제기되었고 조희문 위원장은 현재 상황에서 아무 것도 달라진 것이 없다며 (영화아카데미에 대하여) 학교라는 표현은 안 썼으면 좋겠다고 말해 토론자들과 청중들의 반발을 샀다. 객석에 있던 권칠인 감독도 조희문 위원장에게 영화아카데미의 현 상황에 대한 문제제기를 했으며, 조희문 위원장은 사회, 발제, 참석자 등이 영화아카데미 중심이라 생각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만 논의가 진행되는 것은 아니냐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조희문 위원장이 자리를 뜬 후 먼저 황규덕 교수가 ‘공공 영화창작 교육의 한 모델로서, 한국영화아카데미의 역사와 성과’라는 제목으로, 두 번째로 송낙원 교수가 ‘영화창작교육 발전을 위한 공공부문의 고유 역할’이라는 제목으로 발제했다. 송낙원 교수는 홍콩과 일본 등의 영화 산업이 쇠퇴하고 있는 요인으로 국가 차원의 인재 양성 등한시를 들면서 영화아카데미를 지원하는 것이 중복 투자라는 논리를 비판했다. 송낙원 교수는 또한 영화아카데미의 개편과 축소 주장은 현 정권이 아니라 오래 전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음을 밝혔다. 이어서 발제한 이용배 교수도 한국영화아카데미의 영진위로부터의 독립과 국립영화학교로의 발전을 주장했다.

 

10분간의 휴식 시간에 이어서 진행된 2부의 토론에서 최문순 의원은 먼저 정권이 한국영화아카데미 운영에 간섭할 수 없도록 하는 법안을 내겠다고 말했다. 이어서 정성일 평론가는 영화아카데미가 스스로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기 위해서 국가 기관 내에서 오픈 유니버시티 혹은 실험 대학처럼 공공부문으로 옮겨가야 되지 않겠느냐는 제안을 했다. 정성일 평론가는 또한 한국영화아카데미와 영상원의 공존의 철학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명중 감독은 지금 가장 큰 문제는 영화를 만들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영화를 만들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면서 이 문제를 갖고 왜 영화아카데미를 없애면 안 되는지 사람들을 설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