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Review

폭력의 피카소 - 셈 페킨파의 '겟어웨이'


‘피 흘리는 샘’ 혹은 ‘폭력의 피카소’라 불린 샘 페킨파는 1960,70년대 아메리칸 시네마의 감독들 중에서 서부의 신화를 의문시하면서 가장 전복적이고 폭력적인 방식으로 영화를 만든 작가이다. 페킨파 영화의 독특한 시학은 베트남 전쟁, 정치적 암살 등으로 표출된 아메리카의 폭력적 에너지를 역사의 죄의식과 연결하는 것이다. 미국적 프런티어는 이제 물리적 여정이라기보다는 정신적이고 심리적이며 움직임의 선 또한 내부화된다. 방황하는 인물들의 폭력 또한 몸을 파괴하는 것에 머무는 것이 아니다. 차라리 영화적 이미지, 즉 표상의 질서를 파괴하는 폭력의 경향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와일드 번치>(1969)의 말미에 보이는 극단적인 커팅, 수천 개의 쇼트로 구성된 장렬한 총격전은 줌 렌즈와 느린 화면들의 활용으로 폭력의 잔상을 관객들에게 강렬하게 전달한다. 그러나 폭력의 양상만큼이나 액션의 무게와 짐을 덜어내는 강력한 정서적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폭력은 가능한 구제, 은총의 성취를 이뤄내는 노력의 일환이기 때문이다. 죽음은 장례를 치르는 것이다.

<겟어웨이>에서 핵심적인 것은 이러한 심리학이다. 페킨파의 작품 중 가장 대중적인 흥행을 거둔 이 영화는 보다 오락적이다. 현란한 촬영과 편집, 슬로 모션으로 이루어진 액션 장면, 멕시코의 황량한 대지에의 집착 등은 물론 여전히 페킨파적적이다. 주인공 맥코이(스티브 맥퀸)는 무장 강도 혐의로 4년째 수감생활을 하고 있다. 가출옥 요구가 번번이 거부당하자 맥코이는 아내 캐롤(<러브 스토리>의 알리 맥그로우가 이 역을 맡았는데, 영화를 촬영하면서 둘은 사랑에 빠져 결혼했다)을 시켜 부패한 정치인과 접선해 출옥에 성공한다. 하지만 부도덕한 거래에는 대가가 있는 법. 맥코이는 아내가 자신의 출옥을 위해 원치 않는 성적 교섭을 가졌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아내와의 은행 강도에도 예기치 않은 사건이 발생하면서 둘은 멕시코로 도주하는 불안한 모험을 벌인다.


추격전이 전면에 부각되고, 클라이맥스를 장식하는 총격전의 세밀한 커팅과 슬로모션으로 구축된 박력 있는 폭력묘사가 길이 남을 명장면이지만 화려한 볼거리만이 전부는 아니다. 맥코이에 불의의 총격을 당한 갱 한명이 수의사 부부를 억지로 끌고 다니면서 벌이는 해괴한 에피소드는 폭력에 처한 소심한 인간의 반응, 부부의 정조, 성적 무기력 등의 핵심적인 문제를 불거지게 한다. 수의사 부부의 부조리한 행태는 맥코이와 캐롤의 왜곡된 거울상에 가깝다.

영화 시작부의 장면 또한 이채롭다. 형무소의 일상적인 단순 작업을 보여주는 이 장면은 시간 축을 교착시키는 혼란스런 컷의 연결로 가히 초현실적이다. 맥코이의 감옥의 일상이 정지화면을 포함한 분절된 에피소드로 연결되는데, 여기에 몇 개의 플래시백 인서트가 결합되어 있다. 현재의 구속 상태를 부정하고픈 심정이 기억을 혼란에 빠지게 한다. 게다가 감옥에서 풀려난 맥코이가 캐롤과 강변에 뛰어드는 장면은 일종의 플래시 포워드처럼 표현되어 있다. 페킨파의 몽타주는 여기서 더 이상 액션이 아니라 주관적인 비전, 상상을 현시하는 것에 활용되고 있다. 이 장면은 초현실주의와 허무주의가 공존하는 <가르시아>(1974)의 혼란스런 비전을 떠올리게 한다. (김성욱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 디렉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