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Cinetalk

[시네토크] B급 영화의 즐거움을 공유하고 싶었다 - 이해영 감독이 말하는 스튜어트 고든의 <지옥인간>

시네토크

 B급 영화의 즐거움을 공유하고 싶었다”

- 이해영 감독이 말하는 스튜어트 고든의 '지옥인간'

 

지난 27, 이해영 감독의 추천작인 <지옥인간> 상영 후 시네토크가 진행되었다. 이해영 감독과 진행을 맡은 허지웅 평론가는 B급 공포영화에 대한 깊은 애정을 드러내며 가볍고 활발한 분위기 속에서 대화를 나눴다.

 

 

허지웅(영화평론가): <지옥인간>을 극장에서 보니까 감회가 새롭다.

이해영(영화감독): 이 영화를 처음 본 게 10대였을 때였는데, 당시에는 당연히 극장 개봉은 못했고 대신 비디오테이프로 출시가 되었다. 그때는 비디오테이프의 전성기였으니까 비디오테이프로 이 영화를 접하게 되었다. 오늘 극장에서 다시 보니까 굉장히 새롭다. 이런 영화였나 싶다. 사실은 오기 전에 걱정을 했었다. 혹시나 이 영화가 너무 혐오스러워서 관객들에게 죄송스럽지나 않을까.

허지웅: From Beyond’라는 원제를 한국에서 비디오로 출시하면서 ‘지옥인간’으로 바꾸었다. 테리길리엄의<브라질>에 ‘여인의 음모’라는 제목을 붙이는 센스는 참 이상하지만, ‘지옥인간’이라는 제목은 꽤 괜찮은 것 같다.

이해영: 오히려 ‘From Beyond’보다 ‘지옥인간’이라는 제목이 이야기와 테마를 더 정확하게 설명해주는 것 같다. 잘 지은 제목이다.

 

허지웅: 제작자인 브라이언유즈너와스튜어트 고든 감독 간의 협업관계에서 시너지 효과가 잘 발휘된 영화가 <좀비오> <지옥인간>이다. 시네마테크에 추천한 계기는 무엇인가?

이해영: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에 참여하게 된 게 이번이 세 번째이다. 일 년 동안 상영되는 영화들 중 ‘우아한’ 영화들이거나 읽어야만 하는 영화들이 많이 있었는데, 그런 류의 선택에 딴죽을 걸고 싶은 마음이 일단 있었다. 어설픈 완성도로 몇몇 장면에서 실소를 터트리게 만드는 이런 영화도 있을 수 있다는 걸 환기하는 게 중요하다고 여겼다. B급 영화 시장이 전 세계적으로 굉장히 작아졌고 다들 A급영화만 지향하는 세상에서 이런 영화들도 즐거움이 있었다는 걸 공유하고 싶었다.

 

허지웅: 아날로그 특수효과의 감흥도 있다.

이해영: 요즘 영화들에 물리적으로 확 느껴지는 공포의 쾌감이 덜 느껴지는 이유가 CG 만능주의 때문일 것이다. 이 영화는 아날로그 특수효과에 의존하고 있으며 CG는 거의 없다. 크리처들을 만들고 배우들과 함께 부딪히고 하는 부분들은 아날로그 특수효과를 사용하는 것이 보는 입장에서도 더 가깝게 느껴진다.

 

허지웅: 원작의 내용은 엄청 간단하다. 송과선에 대한 언급은 소설에서 한줄 정도 나오는데 이렇게 만드는 것도 멋진 각색이다.

이해영: 대중들에게 요구받는 몇 가지 코드가 있었을 것이다. 어느 정도로 잔인해야 하고 여성의 누드가 나와야 하고 이런 것들. 아이디어에 가까운 것을 부풀리면서도 제작자들의 요구를 완벽히 지키고 있다. 오늘 다시 보면서 이 사람들이 허투루 영화를 찍는 사람들이 아니구나 싶었다. 예전에 이 영화를 볼 때는 너무 조악한 화질의 비디오테이프로 봐서 색에 대한 감흥이 없었다. 그런데 극장에서 다시 보니까 공진기를 돌리는 장면에서 파란색과 분홍색이 주된 색깔이더라. 배우들의 크레딧도 블루와 핑크로 포인트를 줬고, 미학적으로 좋은 조합이란 생각이 든다. 프로덕션 기간이 매우 제한적이었을 텐데 이런 식의 라이팅 컨셉트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도 대단하게 느껴졌다.

 

 

관객1: 인간의 욕망이라는 테마와 이 영화가 어떤 관련이 있을지.

허지웅: 공진기가 사람들의 어떤 규율에 의해 억눌려있던 욕망을 해방시켜주는 측면은 있다. 어떤 사람은 섹스를 하고 싶게 되고, 어떤 사람은 밥을 먹고 싶어 하고,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을 학대하고 싶어 하고.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는데, 욕망이라는 텍스트로 정교하게 얘기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특히 영화의 후반부에서 크레포드가 뇌를 먹게 되는 것은 욕망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좀비 코드로 해석하는 게 더 적절하다.

이해영: 영화에서도 무언가를 얻고자 하는 욕망 때문이라기보다는 미지의 세계를 알고 싶은 지적 욕구 때문에 기계를 만든 것으로 보인다. 욕망이라고 말하기는 정확하지 않다는 기분이 든다. 이 영화에서 자신의 욕망 때문에 스위치를 올린 것은 캐서린뿐이고 그녀가 이를 통해 자신의 몰랐던 자아를 발견하기도 하지만, 그것만으로 욕망과 관련된 텍스트라고 보기에는 부족하다.

 

관객2: 저번 영화제에서도 <이블 데드>를 추천하려다가 <매드맥스>를 추천했다. 공포영화를 정말 좋아하는 것 같은데 가장 좋아하는 공포영화는 무엇인가?

이해영: <지옥인간>추천평을 쓰면서도 했던 얘기인데, 나의 10대는 영화나 음악에 대한 위악적인 취향을 숨기지 않고 즐겼던 시기였다. B급 공포영화를 좋아하였으며, 음악도 데스 메탈을 좋아하고 해골만 들어가면 “이 음악은 내꺼다” 그랬다. 하지만 취향은 계속 변하는 거다. 요즘은 호러영화는 역시 구로사와 기요시의 호러영화가 ‘역시’라는 생각이 든다. 얼마 전 <로프트>를 다시 보면서 기요시는 모든 쇼트 하나하나가 배울 점으로 가득하구나 싶어졌다.

 

관객3: 감독님 영화에서 B급 취향이 폭발한 적은 없는 것 같은데 이런 영화를 찍을 생각은 없는지.

이해영: 미국인으로 미국에서 영화를 찍었더라면 이런 영화를 만들고 있을 것 같다. 하지만 한국인으로서 B급 취향을 펼칠 수 있는 장을 만드는 건 불가능하다. <천하장사 마돈나>에서도 이를 적절히 끌어내는 것을 고민했었는데 <페스티발>은 좀 많이 넣었다가 시장에서 철저히 사장되었다. 다음에는 철저히 B급 취향을 배제하려고 한다.(웃음)

 

 

관객4: <페스티발>을 처음 봤을 때 신선한 느낌을 받았는데 어떻게 만들게 되셨는지 궁금하다.

이해영: 조금 먼 얘기부터 시작하자면, <페스티발>을 만들기 전에 <26>이라는 영화의 시나리오를 썼었다. 리허설까지 다 마친 상태에서 촬영까지 일주일정도 남아있던 상태였는데 영화가 엎어졌다. 나에게는 정말 괴로운 영화였다. 다른 영화를 빨리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원래 그런 취향을 가진 사람이 아닌 척 살았다면 내가 원래 이런 사람이었다는 것을 드러내고 싶었다. 흥행이 안 될 것이라며 주변에서 많이 말렸다. 저예산으로 찍어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15세 관람가의 라이트한 섹스 코미디를 만들자 해서 노출도 없고 행위도 없는 섹스 코미디를 만들었다. 결론적으로는 19세를 받았지만 말이다.

 

정리: 박민석(관객에디터) | 사진: 문지현(자원활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