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별전/서울아트시네마 개관 10주년 기념 존 카사베츠 회고전

[리뷰] 존 카사베츠의 '사랑의 행로'

사랑은 멈추지 않아요

 

극 중 작가인 로버트 해먼(존 카사베츠)은 어린 배우 지망생에게 이런 질문을 한다. "너에게 가장 즐거웠던 시간은 언제였니?" 이에 대해 지망생은 별다른 답변을 하지 못하지만 이 질문을 해먼에게 돌려보면 그 역시도 마땅한 대답을 할 것 같지는 않다. 술과 담배와 커피에 절어 살며 오랜만에 만난 12살 아들을 혼자 호텔방에 남겨두고 인터뷰를 빙자해 만난 여자들과 하룻밤 사랑을 즐기는 그에게 인생은 될 대로 되라는 식이기 때문이다. 해먼의 인생에 과연 의미라는 것이 존재할까?

<사랑의 행로>는 인생의 의미 여부를 떠나 적어도 해먼과 같은 이들에게 계속 살아나가기 위한 의지와 삶에 대한 끈기가 있다고 말하는, 그럼으로써 응원하는 영화다. 해서 이 영화에는 우리가 쉽게 실패한 인생이라고 단정 짓는 인물들의 총집합이라 할만하다. 해먼과 함께 극의 중심을 이루는 그의 여동생 사라(지나 롤랜즈)는 괴팍한 성격과 갖은 기행 탓에 남편(세이무어 카셀이 연기했는데 그래서 <사랑의 행로>는 '<별난 인연>의 10년 뒤 이야기'라는 부제를 붙이면 어울릴 것 같다.)에게 이혼당하고 하나 있는 딸마저도 등을 돌린 인생 막장에 몰린 인물인 것이다.

그런데 이들의 기행을 들여다보면 마음의 깊은 우물 속에는 애정결핍이 넘쳐흐를 듯 고여 있다. 사실 해먼과 사라가 불러오는 사건과 말썽의 근본적인 원인은 마음 둘 사람을 찾고 싶지만 워낙 관계와 소통의 기술이 떨어지는 탓에 자신들의 진짜 마음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까닭이다. 가재는 게 편(?)이라고, 연출에 있어서 할리우드 스튜디오와 거리를 유지했던 카사베츠는 주류영화에서는 주인공이 될 수 없는 소외된 인물에 눈높이를 맞춰 그들의 삶과 태도에 아낌없는 애정과 응원을 보내왔다. <사랑의 행로>에서 특히 두드러지듯 사건의 당사자뿐 아니라 주변의 인물에게까지 숏을 제공하는 카사베츠의 연출은 소외된 이들에 대한 관심을 거두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명인 것이다.

그와 같은 관심은 곧 타인을 향한 시선의 흐름을 전제한다. 그것은 곧 사랑이 갖는 의미이기도 한데 아닌 게 아니라, 뭐 하나 가진 것 없는 사라가 딸과 함께 살 자격이 충분하다며 항변하는 대사 "사랑은 서로에 대한 관심(streams)이에요. 그것은 멈추지 않고 계속돼요."는 이 영화의 원제가 'Love Streams'인 이유를 직설한다. 해먼과 사라의 각각의 에피소드를 평행하게 진행하며 각자의 외로움을 부각한 후 이들의 조우와 함께 이야기가 하나로 합치는 구조는 관심과 연대가 곧 사랑과 애정이 되는 영화적 주제를 반영한 결과일 테다.

그런 영화적 주제의 실천일까. 존 카사베츠는 일찍이 연출 데뷔작 <그림자들>(1959)의 성공으로 스튜디오에서 영화를 찍을 기회를 얻어 <투 레이트 블루스>(1961)와 <기다리는 아이>(1963)를 만들었다. 하지만 "관심이 있다는 것만으로 돈을 벌지 못한다."는 말과 함께 "다시는 스튜디오 영화를 만들지 않겠다."고 공언했지만 후에 할리우드를 통해 <글로리아>(1980)와 <사랑의 행로>를 배급하며 스튜디오 시스템과 화해에 성공한 뒷이야기가 흥미롭게 다가온다.

(허남웅 / 영화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