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Essay

[Essay] 왕가위 영화의 남자들에 대하여


‘A는 B의 뮤즈 혹은 페르소나’라는 표현을 쉽게 접할 수 있다. 두 단어 모두 주로 대중문화에서 자주 쓰는 표현으로 뮤즈는 작가나 화가 등에게 예술적 영감을 주는 사람을, 페르소나는 주로 영화에서 많이 쓰이는데 감독 자신의 모습을 투영하는 배우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이 단어가 갖는 무게에 비하여 지나치게 남용되고 있는 느낌을 지울 수 없지만, 누가 보아도 그 관계가 ‘페르소나’로 표현 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람들은 존재하기 마련이다. ‘왕가위와 장국영, 양조위’를 빼놓을 수 없다. 누군가는 왕가위의 페르소나는 장국영이라고 하고, 누군가는 양조위, 누군가는 장국영과 양조위라고 말한다. 페르소나가 다른 배우로 옮겨가는 경우는 간혹 있는데, 이들의 관계에 유독 주목하는 이유는 바로 장국영의 죽음(2003)이라는 특성 때문이다.


왕가위의 페르소나가 양조위로 대표되는 시점은 <화양연화>(2000)도 있지만 장국영의 죽음 전후로도 나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양조위는 조연이었음에도 그만의 색깔을 담은 연기로 왕가위와 지속적인 관계를 맺어왔다. 왕가위가 그에게 <중경삼림>(1994)의 주연을 주었다는 것은 그에 대한 감독의 신뢰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개인적으로 만약 장국영이 살아 있었다면, 그 이후의 작품들에서 양조위와 장국영이 각각 어떤 캐릭터를 구축했을지 여러 가지 변수를 생각해보게 된다.


왕가위는 <열혈남아>(1988)로 시작하여 <아비정전>, <동사서독>, <중경삼림>, <타락천사>, <해피투게더>, <화양연화>, <2046>, <마이블루베리나이츠> 까지 장르의 변화는 있어도 주제는 올곧다. 언제나 ‘사랑’에 대해 말한다. 주인공은 사랑이 부족하고, 사랑을 모르고, 사랑을 받고 싶고, 하고 싶고, 떠나보내는 사람들이다. 그러니까 우리 모두의 보편적인 사랑 이야기이다. 그의 영화에서 중요 캐릭터들을 보면 ‘버림받기 전에 먼저 떠나는 사람’과 ‘실연을 극복하고 변화를 통해 새로 출발하는 사람’으로 나뉜다. 전자가 바로 <아비정전>(1990)과 <동사서독>(1994)의 장국영이다. 이 두 영화 속의 장국영은 모두 사랑받지 못했거나 사랑하지 못해서 불행하다. 왕가위 감독은 자신의 작품들에 전반적으로 60년대의 홍콩 중국 반환의 불안한 심리를 허무주의와 유한성에 대한 순응으로 표현해내고 있는데, 그런 의미에서 장국영이 두 영화에서 맡은 역할은 감독의 가치관을 담아내는 매개체, 페르소나의 역할을 톡톡히 한다.


<아비정전>에서 아비 역할의 장국영은 과거 엄마에게 버림받았다는 상처에서 벗어나지 못한 남자이다. 그리하여 진정한 사랑은 물론 정착도 하지 못한 채 버림받기 전에 먼저 여자를 떠나간다. 여자에게조차 꿈에서 만나자고 하는 그는 ‘날개 없는 새’로 살기 위하여 현실에 안주하지 못하고 부유하다가 결국 죽음을 맞이하고, 이러한 결말은 감독이 바라보는 당시 홍콩의 분위기를 반영한다. 영국의 식민지에서 벗어나 중국으로 반환된 역사를 볼 때, 홍콩인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쉽지 않았을 것이다. 아비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서 방황하는 홍콩 젊은이의 모습처럼 보인다. 이 캐릭터는 <동사서독>의 동사, 구양봉으로 이어진다. 이 역할 또한 장국영이 맡았는데, 반복되는 성격으로 등장해 장국영이라는 배우에 캐릭터를 입혀서 받아들이기는 훨씬 더 수월했을 듯싶다. 구양봉 역시 아비처럼 과거의 상처에서 벗어나지 못한 남자이다. 사랑을 이루지 못했던 그는 영화가 끝나갈 무렵 “거절당하기 싫으면 먼저 거절하는 것이 최선이다”라고 이야기 하는데, 이는 흡사 아비의 독백처럼 느껴진다. <해피투게더>(1997)에서 보영 역할의 장국영은 뒤늦게 사랑을 깨닫고 떠난 아휘의 방에 ‘돌아와’ 통곡한다는 점에서 아비와 구양봉보다 더 진전해있는 캐릭터이다. 허나 여전히 큰 골격에서는 사랑에 정착하지 못하고 떠돌아다니는 사람이라는 점에서 그 전작들의 캐릭터의 연장선이라고 볼 수 있다.


왕가위의 또 다른 페르소나로 꼽히는 양조위는 장국영이 왕가위의 영화에서 처음부터 주연으로 성장한데에 비하여, 장국영이 주연인 영화에 조연으로 참여했다가 주연으로 성장한 경우이다. <아비정전>의 본 내용이 모두 마무리 된 후, 약 2분 남짓한 시간 동안 양조위는 대사도 클로즈업도 없이 묵묵히 손톱 다듬고, 멋 내고, 돈과 카드를 챙기고 외출하는 모습으로 양가위의 영화에 처음으로 얼굴을 내민다. <아비정전2>에서 주인공을 맡을 예정이었지만 영화 제작이 무산됨으로써 안타깝게도 아비정전에서 양조위가 어떤 역할이었는지는 알 도리가 없다. <동사서독>에서 눈먼 무사 역할의 양조위는 구양봉처럼 과거 사랑에 대한 상처를 안고 있다. 하지만 눈먼 무사는 친구와 정을 통한 아내를 여전히 사랑하고 그리워하며 눈이 멀기 전에 복사꽃에 다가가기 위하여 노력하는 인물이다. 눈먼 무사처럼 구양봉 역시 복사꽃을 보러 가고 싶어 하지만 더 이상 그곳으로는 돌아갈 수 없다고 말하는 것으로 보아 둘은 다른 성격을 지닌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양조위는 왕가위 영화 중 <중경삼림>에서 첫 주연으로서 실연당한 경찰 663 역할을 맡았다. 경찰 663은 비록 실연당해 방안의 사물들과 대화를 나누기도 하지만, 이를 극복해내고 해피엔딩으로까지 나아가는 긍정적인 인물이다. 또 <해피투게더>의 보영으로서의 양조위 역시 이와 비슷하다. 아휘 역할의 장국영이 아휘에게 정착하지 못하고 반복해서 떠나가는 데에 반하여 보영은 아휘를 진심을 다해 사랑하고 보살핀다. 그리고 후에 보영과 헤어졌을 때에도 실연의 아픔을 극복해나가며 새롭게 출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기까지 왕가위 작품 속의 장국영과 양조위의 역할을 비교해보았을 때, 둘의 캐릭터는 서로 대조를 이루고 있다.


<해피투게더> 이후 왕가위의 페르소나였던 장국영의 자리를 처음으로 양조위가 대신한 작품은 <화양연화>(2000)이다. <화양연화>는 장국영의 죽음 이전에 만들어진 영화이기 때문에, 그의 죽음 때문에 양조위가 왕가위의 새로운 페르소나가 되었다고 단정하기에는 다소 어렵다. 허나 주목하고 싶은 것은 양조위가 왕가위의 영화에서 맡게 된 캐릭터의 변화이다. <화양연화>에서 차우 역할의 양조위는 처음으로 사랑에 부정적인 모습을 드러낸다. <화양연화>는 <아비정전>, <2046>(2004)과 ‘60년대 홍콩3부작’으로 이어지는 영화이다. <화양연화>에서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을 두려움으로 놓치고 뒤늦게 후회하던 차우는 <2046>에서 그 상처로 진정한 사랑보다는 육체적 사랑에만 빠져있는 인물로 등장한다. 마치 <아비정전>의 아비 역할인 장국영과 같다. 게다가 양조위가 왕가위의 페르소나로 자리 잡기 시작한 시기는 바로 <화양연화> 이후이다. 양조위가 <중경삼림>과 <동사서독>, <해피투게더>에서 연달아 보여주었던 사랑에 상처받았지만 긍정하는 캐릭터에서 <아비정전>, <동사서독>, <해피투게더>에서 사랑하지 못하고 먼저 떠나가는 장국영의 캐릭터로 처음 옮겨온 작품이 바로 <화양연화>인데, 그렇다면 왕가위의 페르소나가 갖는 고유의 특성이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그 공통점을 찾아보면 첫째로, 과거의 상처로부터 벗어나지 못한 결핍된 성격이며 둘째로, 진정한 사랑을 하지 못하고 상대방에게 버림받는 것이 두려워 자신이 먼저 떠난다는 것, 하여 외로운 사람이다.


개인적인 추론이기에 섣불리 단정할 수는 없지만, 장국영의 죽음이 양조위가 왕가위의 페르소나로 자리 잡는 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는 생각이 되지 않는다. 물론 양조위가 장국영의 부재로 스타덤에 올랐다는 의미는 아니다. 다만 장국영이 지금까지 왕가위의 페르소나로서 연기하고 있다면 왕가위와 양조위의 관계가 지금처럼 ‘페르소나’라는 말로 명확하게 표현이 될 수 있었을까 라는 궁금증이 있다. 동시에 왕가위의 페르소나가 변화해가는 과정에 대한 생각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현재 왕가위 감독의 페르소나는 장국영과 양조위 중 한 명만이어야 한다는 생각은 옳지 않다는 점이다. 어떤 사람들은 장국영의 죽음이 주는 안타까움 때문에 그가 왕가위의 유일한 페르소나여야 한다고 하지만, 장국영과 양조위, 두 배우는 왕가위 감독이 영화마다 그려내고 있는 결핍된 자들의 순수함을 제대로 표현해낸다. 장국영이 아직은 젊은 남자의 허무를 담아내고 있다면, 양조위는 세상을 적당히 경험하여 고독한 중년 남자의 외로움을 연기한다. 왕가위 감독의 영화 주인공들의 연령이 <해피투게더> 이후로 청년에서 중년으로 넘어갔음을 짚어본다면, 장국영에서 양조위로의 페르소나의 변화는 자연스럽다고 할 수 있다.


그러고 보면 장국영과 양조위에게는 배우로서 공통점이 있다. 바로 ‘말’보다는 ‘눈’으로 연기한다는 것. 이러한 점 때문에 왕가위 감독에게는 장국영과 양조위가 서로 다른 배우이면서 하나의 페르소나로 존재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양조위는 왕가위의 영화에서 형성된 캐릭터가 다른 감독들의 영화로까지 이어졌다는 생각이 든다. 예를 들어 <화양연화> 이후, 장이모 감독의 <영웅>(2002), 맥조휘, 유위강 감독의 <무간도>(2002)와 <상성>(2006), 이안 감독의 <색, 계>(2007)가 그렇다. 이 영화 안에서 양조위는 장르와 역할의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혼자’라는 공통점이 있다. 영웅의 파검은 연인과 서로 검을 맞대는 운명이었고, 무간도에서는 9년 동안 경찰이면서 조직원의 스파이로 정체성에 혼란을 느꼈고, 상성에서도 과거의 일로 장인과 아내를 죽이는 암살자였으며, 색, 계에서는 사랑을 느꼈던 자도 정치적인 입장으로 인해 죽여야 했다. 대표작들 속의 양조위들은 강인하면서도 홀로 고통을 인내해야하는 외롭고 고독한 사람들이다. 대부분은 죽음으로 끝을 맺었다는 공통점이 또 있다. ‘존 웨인’이 ‘존 포드’만의 페르소나가 아니라 서부극이라는 장르를 대표하는 페르소나일 수도 있다는 말처럼, 양조위 역시 왕가위만의 페르소나가 아닌 홍콩 영화의 ‘고독’과 ‘외로움’의 페르소나로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생각이 여기까지 닿자, 왕가위를 만나 비로소 배우로서의 얼굴을 찾은 장국영에 대해 안타까움이 남는다. 그도 지금까지 연기할 수 있었다면, 아마 상처받은 현대인의 페르소나로서 자리 잡고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상상으로 이어져서이다.

페르소나는 존 레논의 표현처럼 ‘예술적 온도’가 맞는 예술인들의 관계를 잘 드러내주는 단어 같다. 페르소나인 배우와 감독의 관계는 누가 더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아 한곳에 섞어도 온도가 변하지 않는 커피와 같다. 내가 상대방이고 상대방이 내가 될 수 있어서 말보다는 ‘눈’으로 이끌어가는 좋은 영화를 만들어보고 싶은 마음이다. 꼭 영화뿐이랴. 나를 그대로 표현해주는 사람을 만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왕가위는 페르소나라고 부를 수 있는 배우가 둘이나 있으니 참 운이 좋다. 부러운 일이다.


김휴리(관객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