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Review

[리뷰] 정지영 감독의 곧은 화법 - 정지영 감독의 <남부군>

상영작 리뷰

정지영 감독의 곧은 화법 

정지영의 '남부군'


정지영 감독은 영화를 통해 하고 싶은 말을 돌려서 하지 않고 우직하게, 직설적으로 말해왔다. 김경호 교수는 감히 판사에게 석궁을 쐈기 때문에 정당한 재판을 받지 못했으며(<부러진 화살>), 김종태는 억울하게 간첩으로 몰려 안기부에서 지독한 고문을 당했다(<남영동 1985>). 정지영 감독은 이 ‘간단한’ 사건에 별도의 주석을 달지 않고 그 과정을 최대한 적나라하게 보여준 후 판단은 관객에게 맡긴다. 이렇게 해도 관객은 자신의 연출 의도와 진심을 알아주리라 믿는 것일까. 그렇기에 정지영 감독은 스타일에 있어서도 과욕을 부리지 않는다. 그는 이야기에 필요한 숏들만을 딱 맞는 사이즈와 길이로 찍어 순서대로 이어 붙인다. 롱 숏은 풍경을 보여주고 미디엄 숏은 이야기에 주력하고 클로즈업은 감정을 고조시킨다. 가벼워진 카메라의 무게만큼 더 어지럽게 흔들리는 최근 영화의 스타일과 비교하면 정지영 감독의 이런 연출은 고마운 마음까지 든다.

1990년에 개봉한 <남부군>을 보자. 주위 사람들을 따뜻한 웃음으로 돌보고 전투 중에도 시집을 손에서 놓지 않는 빨치산이 등장하는 이 영화는 2시간 40분 동안 이들이 흉악한 ‘빨갱이’가 아닌 나약한 인간이자 역사의 희생자임을 이야기한다. 당시 사회 분위기를 생각해보면 이야기나 묘사의 ‘균형’을 잡기 위해 자칫 방향이 흔들릴 수도 있었을 텐데 영화는 이들이 신념을 지키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고, 그 과정에서 어떤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겪었는지에만 꿋꿋하게 집중한다. 당시의 복잡한 역사적 상황에 대한 이야기는 이태(안성기)의 내레이션에만 잠깐씩 등장할 뿐이다.

그런 맥락에서 정지영 감독의 이러한 곧은 화법이 영화를 해석할 때 오히려 더 풍부한 맥락을 만들어 낸다는 점이 흥미롭다. 단적으로 말해 산과 마을을 옮겨 다니며 빨치산이 토벌대와 전투를 벌이는 것이 내용의 거의 전부인 이 영화에서 어떤 관객은 저들이 끝까지 신념을 포기하지 않는 힘이 무엇인지 물어볼 수도 있을 테고, 또 어떤 관객은 이들의 뒷이야기를 궁금해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영화는 여기에 대해 어떤 답도 주지 않은 채 단지 굶주린 채 진달래꽃을 따먹는 사람들의 모습과 동상에 발을 잘라내면서도 산을 내려가지 않겠다는 사람들을 계속해서, 계속해서 보여준다. 하지만 영화가 이렇게 인물들의 행동에 집중할수록 영화는 단순해지는 동시에 복잡해진다. 이것이 지금도 변하지 않은 정지영 감독의 곧은 화법이 갖는 영화적 힘일 것이다.


김보년 /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 코디네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