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Feature

개막작소개: 영화를 사랑한 영화

[특집2] 개막작 소개: 영화를 사랑한 영화

- 우디 앨런의 ‘카이로의 붉은 장미’

 

 

 

 

 

2013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의 개막작은 관객들의 선택작이기도 한 우디 앨런의 <카이로의 붉은 장미>이다. ‘영화를 사랑한 영화들’이란 주제의 10편의 작품들 가운데 관객들이 최종 선택한 작품이기도 하다. 고다르의 <경멸>, 버스터 키튼의 <카메라맨>, 페데리코 펠리니의 <8 1/2>을 제치고 가장 많은 지지를 얻었다. 영화 관람이 대중적인 오락거리이자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은 영화관을 가던 1930년대 대공황기를 배경으로 한 유쾌하면서도 통렬한 사랑이야기다.

 

영화의 오프닝 크레딧이 떠오를 때 우리 귀에 들려오는 것은 뮤지컬 영화 <톱 햇>(1935)에서 프레드 아스테어가 부르는 노래 “칙 투 칙(Cheek to Cheek)”이다. “천국에, 나는 천국에 있어요”라는 가사가 인상적이다. 이 노랫말은 아마도 <카이로의 붉은 장미>의 여주인공 세실리아(미아 패로)가 영화를 볼 때의 기분과 같을 것이다. 프레드 아스테어와 진저 로저스 콤비가 출연했던 <톱 햇> 1930년대 대공황 시기에 얼어붙은 관객들의 마음을 달래주었고, 세실리아 역시 그런 관객들 중 한 명이기 때문이다.

 

이야기는 1930년대 뉴저지에서 시작한다. 레스토랑에서 웨이트리스로 일하는 세실리아는 실직한 남편의 구타와 음주, 외도에 못 견디고 집을 나선다. 그런데 직장에서의 잦은 실수 때문에 결국 해고당하고 만다. 앞길이 막막해진 세실리아는 눈물을 훔치며 늘 그랬듯 극장으로 향해 영화 속 영화 <카이로의 붉은 장미>를 두 번이고 세 번이고 관람한다. 그때 그녀에게 기적이 일어난다. 세실리아가 좋아하는 영화 속 캐릭터인 톰 벡스터(제프 대니얼스)가 스크린 밖으로 걸어 나와 말을 걸고, 그녀에게 사랑을 고백하기까지 하는 것이다.

 

 

 

감독 우디 앨런은 영화 속 허구의 인물이 현실세계로 들어오면서 벌어지는 해프닝들을 유머러스하게 보여준다. 긴급한 상황에서 닥치는 대로 잡아탄 자동차는 움직이지 않고, 조명은 로맨틱한 순간에 알아서 꺼져야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이는 영화와 현실이 같은 세계에서 양립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장면들이다. 하지만 영화와 현실의 양립불가능성이 현실 앞에서 영화가 쓸모없다는 걸 의미하지는 않는다. 영화는 현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감정을 불어넣어 현실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세실리아는 남편에게 얻어맞는 벡스터를 보고 소극적이었던 이전까지와는 다르게 적극적으로 대항한다.

 

상황이 조금 더 복잡해지는 건 영화와 현실의 중간 단계, 즉 톰 벡스터를 연기한 배우 길 셰퍼드가 개입하면서부터다. 그는 자신의 복제인간이 영화 밖으로 튀어나와 무슨 짓을 할지도 모른다는 불안에 사로잡혀 할리우드에서 곧장 뉴저지로 달려온다. 셰퍼드는 세실리아에게 사랑 고백을 하면서 벡스터와 자신,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 요구한다. 세실리아는 벡스터가 아닌 현실에서 살아가는 셰퍼드를 택한다. 허구와 현실 가운데 허구를 선택하는 일은 우디 앨런의 말을 빌자면 ‘정신 나간 짓’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을 선택한다는 것은 ‘상처를 받는 것’이기도 하다. 셰퍼드는 혼자 할리우드로 떠나버리고 세실리아는 버림받는다. 그녀는 다시금 허구의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 즉 극장으로 향한다. 우디 앨런은 영화가 현실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낙관도, 영화는 영화일 뿐이라는 냉소도 하지 않는다. 다만 스크린을 응시하는 세실리아의 얼굴을 우리로 하여금 마주하게 만든다. 웃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아닌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 세실리아의 표정은 <카이로의 붉은 장미>를 보는 우리의 표정과 닮았다. 영화와 현실이 서로를 거울처럼 마주보는 통렬한 순간이다.

 

송은경 / 시네마테크 관객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