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별전/우리 시대의 프랑스 영화 특별전

[리뷰] 클레르 드니의 <35 럼 샷>

부조리한 삶의 조건을 드러내는 시선

 

클레르 드니 감독은 어린 시절 서아프리카에서 자랐다. 거주지역이 세네갈, 카메룬 같은 주로 과거에 프랑스의 식민지 국가들이었는데, 공무원인 부친이 이곳에서 일했기 때문이다. 대학에 갈 때쯤 프랑스로 돌아왔으니, 그의 정체성은 아프리카와 프랑스 사이에 걸쳐 있다. 아니, 유아기의 중요성을 감안한다면 드니는 아프리카 쪽에 더 가까운 사람이다. 드니의 영화를 설명할 때 자주 언급되는 탈식민주의 테마는 이런 성장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35 럼 샷>(2008)도 프랑스에 사는 아프리카계 사람들의 이야기다. 감독 자신이 밝혔듯, 이 영화는 그가 흠모하는 오즈 야스지로의 <만춘>(1949)을 응용한 작품이다. 곧 아버지와 딸의 지극한 사랑 이야기다. 아버지(드니 감독의 아이콘인 알렉스 드카)는 기차의 기관사이고 딸은 대학에서 인류학을 전공하는 학생이다. 아버지는 이제 딸이 독립하면 좋겠고, 딸은 혼자 사는 아버지의 곁을 떠나기 싫다. 이웃에는 딸을 사랑하는 청년(역시 드니의 아이콘인 그레구아르 콜랭), 그리고 아직도 아버지를 연모하는 과거의 여인이 있다. 영화는 아버지와 딸을 중심으로 이 네 사람의 심리적 변화를 그리는 단순한 내용을 담고 있다.

드니 영화는 어느 순간 관객의 혼을 빼는 마력을 가진 부분이 있다. 롤랑 바르트의 말을 빌리면 푼크툼 같은 순간이다. 이성으로 설명되지 않는 ‘찌르는 부분’으로, 그런 과잉의 묘사가 그의 영화에 깊이를 가져온다. 이 영화에서 먼저 주목되는 푼크툼은 타지에 사는 이방인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독특한 시선일 것이다. 이게 드니 영화가 갖고 있는 가장 남다른 매력이다. 아버지 역의 알렉스 드카가 보여주는 오랜 세월 분노를 참은 외로운 시선, 청년이 보여주는 불안하고 냉소적인 시선, 그리고 딸이 보여주는 고요한 체념의 시선은 프랑스에서 아프리카계 출신이 겪는 부조리한 삶의 조건을 한 눈에 알게 한다. 드니의 영화에는 대사가 별로 없는 편인데 대신 이들의 시선이 더 많은 말을 하는 셈이다. 아프리카에서의 성장 경험이 바탕이 됐을 것이다.

드니의 영화에서 반복되는 또 다른 중요한 푼크툼은 춤에 대한 묘사다. 그의 춤에의 매혹은 <좋은 직업>(1999)에서 외인부대 군인들의 군무(群舞) 같은 장면으로 이미 표출됐고, 그때도 춤 장면은 약간 과잉의 순간이자 말없이 펼치는 엔딩의 기술이었다. <35 럼 샷>에서는 비오는 날의 밤에 식당에서 펼치는 네 인물의 춤추는 장면이 압권이다. 아버지보다는 딸이 부녀관계에 더욱 집착하고 있었는데, 그날 밤의 춤을 통해 딸은 마침내 자신이 떠나야 한다는 사실을 수긍한다. 말하자면 영화의 가장 중요한 전환점의 순간에 춤이 펼쳐진 것이다.

드니는 오즈에 대한 흠모를 자주 말하곤 했는데, 특히 <만춘>을 이용한데는 아마 자신도 부친과 남다른 관계를 맺었기 때문일 터다. 자식들에게 세상을 알리려고 2년 마다 국가를 바꿔가며 아프리카를 돌아다닌 부친에 대한 사랑이 투사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영화 속 부친의 직업이 ‘기차’의 기관사인 것은 오즈에 대한 오마주의 결과 같다. 알다시피 기차는 오즈 영화의 아이콘이다. 드니가 오즈를 흠모하게 된 특별한 계기는 빔 벤더스가 오즈에 관한 영화 <도쿄가>(1985)를 찍을 때, 그의 조감독으로 일했던 경험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 / 한창호(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