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Cine talk

"자국 문명과 역사를 해체해 낼 수 있다는 문화와 예술의 힘"

[시네토크] 이준익 감독이 추천한 테리 길리엄과 테리 존스의 <몬티 파이튼의 성배>

지난 10일 저녁, 중후반에 들어선 ‘2011년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에서는 ‘영화의 즐거움’이란 모토에 딱 맞는 영화 <몬티 파이튼의 성배>의 상영이 있었다. 끊임 없이 웃음을 자아낸 극장 안은 영화가 끝난 후에도 여전히 ‘다그닥 다그닥’ 코코넛 말소리가 들리는 가운데 이 영화를 추천한 이준익 감독과의 시네토크가 이어졌다. 훈훈한 분위기 속에서 역사에 대한 풍자와 해학을 논한 시네토크 현장의 일부를 여기에 전한다.



허남웅(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몬티 파이튼의 성배>를 꽤 오래 전에 비디오로 자막 없이 처음 접했다고 들었다. 오늘 스크린에서 자막과 함께 본 소감이 어떤가?
이준익(영화감독): 너무 재밌게 봤다. 영어를 못하면서도 자막 없이 봤는데, 그때 내가 추측했던 내용 그대로여서 내 상상력에 놀랐다.

허남웅: 친구들 영화제에 '몬티 파이튼' 시리즈를 세 개 다 추천할 정도로 굉장한 팬이신 것 같다. 시리즈를 좋아하는 특별한 이유는 있는가?
이준익: 감독이 되기 전, 10여 년 동안 영화 수입사에서 일을 하며, 외국 필름 마켓에서 다양한 영화를 접할 수 있었다. 마침, '몬티 파이튼' 시리즈에 관한 얘기를 접해 듣고, <몬티 파이튼의 성배>, <몬티 파이튼: 브라이언의 삶>, <몬티 파이튼: 삶의 의미> 세편을 모두 다 찾아보게 되었다. 이들의 세계관에 반했고 나름의 충격을 받았다. 내 영화 <황산벌>에 영감을 준 작품들이다.

허남웅:
BBC의 코미디 프로로 시작한 '몬티 파이튼'이란 그룹의 당시 인기는 비틀즈의 인기와 비교될 정도로 대단 했다고 한다. 이 그룹의 매력은 무엇이라고 생각되는가?
이준익: 이 영화에서 보았듯 이들은 권력에 대한 조롱과 제도권에게 비판의 돌을 던지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사회에 또 다른 대안적인 시각을 제공하는데, 머리 아픈 철학책으로서 썰을 푸는 것이 아니라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미학적 방식으로 웃음을 이용한 조롱과 풍자를 한다. 영화라는 도구를 통해 세상을 조롱하는 대단한 철학자들이다. 이들은 <몬티 파이튼: 브라이언의 삶>으로 기독교를 비판하고 <몬티 파이튼: 삶의 의미>로 자본주의의 모순, 인간의 욕망을 통렬히 비판한다. 이들이 구현한 영화의 깊이는 보는 사람의 눈높이에 따라 영화의 의미를 달리하게 한다. 아는 만큼 보이는 영화다.

허남웅: <몬티 파이튼의 성배>는 아더 왕 이야기라는 역사의 한 부분을 다루는데, 힘 있는 자들의 역사를 그대로 보여주기 보다는 그들만의 해석을 더했다. <황산벌>과 <평양성>도 그런 시도였나?
이준익: '몬티 파이튼' 시리즈를 처음 접했을 때 서양 문명의 구조적 해석력에 놀라움을 금치 않을 수 없었다. 천 년 전 이야기인 아더 왕 이야기를 이용해서 자기 나라, 영국의 역사는 물론 서양 역사에 대한 해학 있는 풍자를 했다. 정치적 이념과 문화적 토양, 과거 역사를 조롱할 수 있는 역사에 대한 다양한 해석력이 너무 부러웠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풍자와 비판이 구현 가능한가를 가름하기위해 <황산벌>과 <평양성>을 만든 것이다. 자기네 문명과 역사를 해체해 낼 수 있다는 문화와 예술의 힘을 부러워하면서도 경탄한다. 영국문화에 해박하지 못해서 정밀한 해석은 못해내지만 '영화가 역사 속 이야기를 이용해 비판해내는 상황들이 현실에도 대입될 수 있다'는 영화의 현재성 또한 뛰어나다고 생각된다.

허남웅: <몬티 파이튼의 성배>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이준익: 코코넛 두들기는 소리로 말을 타는 장면과 성 밖으로 동물을 던지는 장면 등이다. 특히 동물 던지는 장면은 이미지적 쇼크였다. 이 장면을 <평양성>에서 써 보았다. 이 영화를 10년 후에 떠올렸을 때, 아마도 생각 날 것은 코코넛 소리로 말을 타는 기사들이다. 나도 <황산벌>에서 그런 식으로 말을 타게 하고 싶었다. 영화 <도그빌>이 선만 그어 놓고 벽이 있는 듯 극을 진행해 나가듯, 나 또한 천막과 나무판으로 성을 대신하고 종이 갑옷으로 실제 쇠 갑옷을 대신하도록 설정해 보았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중 관객들이 아직은 그런 비약과 상징을 받아드리기는 무리가 있다는 판단 하에 돈이 많이 든 사극들을 만들었다.

허남웅:
이 영화는 짜임새 있게 잘 만들어진 영화가 아니다. 영화의 구조적인 것보다는 어떠한 것을 이야기하느냐를 더 중점적으로 한 것 같다.
이준익: 그렇다. ‘무엇’에 관해 얘기하느냐가 ‘어떻게’ 보다 중요한 작품이다. 문화의 다양성 속에서 개인의 통로를 많이 만들어서 끊임없는 재생성으로 대안적인 방향을 제시한 작품들이 많다. 대중이 인정하는 가치들에 질문을 던지는 의심체계를 만들어내는 B급 영화집단들이 많고, <몬티 파이튼의 성배>도 그런 작업으로 이뤄진 영화 중 하나다. '흑기사는 죽지 않는다'라는 관념을 손발이 잘려나가도 죽지 않는 흑기사들을 통해 조롱한다. 이 영화 속 모든 캐릭터는 조롱의 대상이다. 관념체계에 대한 해체와 재해석이다. 구조적 문제 ‘How' 보다는 'What' 이 더 인정을 받는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가 우선시 된다. 예술영화나 대안영화가 나오기 힘든 환경이다.

관객1: 오늘 본 <몬티 파이튼의 성배>와 <황산벌>, <평양성>에서 비슷한 점들을 많이 발견했다. 이 영화에서 트로이 목마가 등장하는데 혹시 <평양성>에서 나오는 새 머리가 여기서 영향을 받은 것인가?
이준익: 영화 속 트로이 목마는 말이 아니라 토끼다. 그리스 문명의 패러디랄까. <평양성>의 새 머리는 이것을 딴 것이 아니라 고구려의 상징인 세발 달린 까마귀 삼족오를 나타내는 것이다. 트로이 목마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이야기인데, 영화는 이를 풍자하는 듯하다. 나는 우리의 정체성이 드러난 문명을 비판하고 싶다. 우리의 신화를 읽지 않고 그리스 신화를 많이들 읽는데, 그 점이 아쉽다. 사극을 많이 하는 이유가 이 때문인데, 이게 꽤 힘들다.

관객2: 영화는 '즐길 거리'이기도 하지만 문화와 예술의 한 장르이기도 하며 사회를 보여주는 창이기도 하다. 최근에 이슈화 된 최고은 시나리오 작가의 죽음에 대해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나?
이준익: 민감한 이슈이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간단히 얘기를 해보겠다. 단순히 말해 상업영화는 돈이 없이는 만들어 질 수 없다. 내가 1986년에 영화계에 처음 발을 들였을 때만 해도 영화계는 자급자족이 이뤄지는 시대였다. 관객이 극장에 와서 쓴 돈으로 새 영화가 제작되는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외부 자본이 유입되며, 자본주의 정신을 가진 기업들이 영화계의 돈의 경로를 바꾸면서 자급자족의 시대는 끝이 났다. 이제 영화가 기업들의 투자를 통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기업들은 예측되지 않는 시장에는 과감히 투자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크기와 언어, 문화상 시장이 확장되는 데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고 생산단계에서의 문제가 달라지지 않았기 때문에, 천만 관객 시대가 도래 했더라도 영화 스태프들의 파이 분배 문제는 개선되지 않았다. 제작사의 횡포 보다는 한국영화계의 구조적인 속성과 자본주의적 시장의 지배가 한 몫 했다고 본다. 자국영화 점유율이 세계 6위로 높은 편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가난한 영화 인력과 바뀌지 않는 파이 분배는 큰 문제다. 이런 구조적인 문제와 함께, 영화를 평론과 감상보다는 숫자와 점수로만 평가 내리려는 우리나라의 풍토가 영화판을 더 각박하게 만든 것 같다. 나도 피부로 느낀다. 해가 거듭 될수록 연출부와 제작부에 지원하려는 젊은 영화 인력들이 줄어들고 있다. 이상을 좇아 온 영화판의 현실을 못 견뎌하는 것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들이 우리나라 영화계를 괴롭히고 있을 때, 최고은 작가 사건이 일종의 경종을 울린 것 같다.


관객3: 영화의 즐거움이라는 주제에 걸 맞는 좋은 영화였다. 이 영화의 즐거움은 마녀사냥이라든가 지배층의 모순을 풍자하고 비판하면서 나오는 코미디로부터 온다. 어떤 정치적 상황이나 사회적 현상을 조롱할 때 가장 희열을 느끼시는지?
이준익: 많다. 한 20여개 정도는 아예 목록을 적어 놓았다. 할 소재는 너무 많지만 이해관계가 얽힌 근현대사는 다루기 힘들어서 오래된 황산벌이나 평양성 속의 역사적 배경을 통해 사회에 돌을 던지려고 노력했다. 내 시대 사람들은 자기검열이 아직 몸에 배어있다. 아무리 근현대사의 꼬임을 비판하려해도 한계가 있다. 젊고 힘이 넘치는 내 후배들이 근현대사 속의 사건들을 알맞게 비판하고 풍자하며 부딪혀 볼 수 있기를 바란다.

(정리 : 배준영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 관객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