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3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Cinetalk

[시네토크] 우습고, 비열하고, 진짜 사람 같은 사람들 - 윤종빈 감독이 말하는 마틴 스콜세지의 <좋은 친구들>

시네토크

우습고, 비열하고, 진짜 사람 같은 사람들

- 윤종빈 감독이 말하는 마틴 스콜세지의 ‘좋은 친구들’

 

지난 1월 26일 오후, 서울아트시네마의 로비는 마틴 스콜세지의 <좋은 친구들>(1990)과 이 영화를 선택한 윤종빈 감독과의 시네토크를 찾아온 사람들로 가득했다. 윤종빈 감독은 <좋은 친구들>을 서른 번도 넘게 봤을 정도로 좋아한다며 영화에 대한 애정을 숨기지 않았다. 그 흥미로웠던 현장을 전한다.

 

 

김성욱(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 디렉터, 영화평론가): 마틴 스콜세지의 <좋은 친구들>을 여러 번 봤다고 했다. <좋은 친구들>에서 어떤 면들을 좋아하는지, 그리고 오늘 또다시 보면서 어떤 것들을 새로이 생각하게 됐는지.

윤종빈(영화감독): 23살 때 이 영화를 처음 봤을 때, 내가 마피아도 아니고 이탈리아 사람도 아니지만 왠지 그 세계는 진짜 그럴 것 같아서 충격을 받았다. 두세 번 보니까 영화에 플롯도 없고, 장르적인 면도 거의 없다는 게 들어왔다. 그런데도 두 시간이 넘는 러닝타임을 힘 있게 끌어갔던 게 신기했다. 그리고 계속 보다보니까 음악이 들어왔다. 이 영화는 사운드트랙이 굉장히 훌륭하다. 기존에 있던 곡들을 삽입한 건데, 그 장면의 정서에 맞거나 부딪히는 방식으로 많이 사용한 것 같다. 그리고 또 재밌는 건, 이 영화엔 어떠한 멜로드라마적인 순간도 존재하지 않고, 영화에 나오는 인물에게 이입할 수도 없고, 그 사람들의 내면을 보여주는 순간도 없는데 왠지 그 사람이 어딘가에 존재하는 진짜 인간인 것처럼 착각이 들게 하는 것이다. 그러한 점들이 이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들이다.

 

김성욱: 내면을 보여주지 않고 인물을 그려나간다는 점에서 보면 이 영화는 내레이션을 쓰고 있지만 전통적이지 않은 다른 방식으로 쓰는 것 같다. 짧긴 하지만 부인의 내레이션도 나온다. 내레이션보다 오히려 코멘터리 같은 느낌이 강하다. 방금 인물의 내면을 보여주지 않으면서 인물들이 그럴듯하게 느끼게 해준다고 말했는데, 정확하게 어떤 부분들이 그러한가?

윤종빈: 가령 이 영화와 비슷하다고들 하는 <대부>(1972)는 멜로드라마적인 면에 많이 기대고 있다. <대부>의 세계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 멋있어 보이기도 하고, 착해 보이기도 하는 순간들이 존재한다. 그런데 이 영화엔 사람들이 시종일관 우스꽝스럽고, 비열해 보이고, 그런데도 사람 같다. 그런 것들이 배우들의 연기에서도 많이 드러난다. 헨리가 폴리의 식당을 찾아가서 잘못했다면서 우는 장면에서 헨리의 그 표정이 너무 불쌍하고 인간적으로 다가온다.

 

김성욱: 이 영화는 인상적인 촬영 방식을 보여준다. 이 영화를 얘기할 때 꼭 언급하는 장면, 헨리가 카렌과 데이트를 하면서 코파카바나 클럽으로 내려가면서 맨 앞자리까지 들어가는 장면이 하나의 컷으로 길게 촬영됐다. 마치 다큐멘터리적인 촬영 방식이다. 그런 식의 촬영이 내용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는 것 같다.

윤종빈: 내용은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것 같지만 촬영은 매우 스타일리시하다. 무빙이 많고 테크닉이 굉장히 많이 들어간 영화다. 그런데 영화에 빠지게 되면 그런 스타일을 인지하기 힘든 것 같다.

 

 

김성욱: 어떤 장면을 인상적으로 기억하는가?

윤종빈: 대부분의 장면을 다 좋아하는데 에릭 클랩튼의 ‘Layla’ 후반부가 나오면서 사람들이 핑크색 차 안에 죽어 있는 게 드러나는 장면이다. 일순간 화면이 정지하고, 음악이 흐르고, 죽은 사람이 나오는, 굉장히 영화적인 순간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영화는 니콜라스 필레지라는 마피아 갱단의 자서전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다. 그런데 영화 속에 나오는 에피소드들이 너무 리얼해서 어디까지가 진짜고 어디가 각색이 됐는지가 진짜 궁금하다. 가령 헨리, 지미, 타미가 마피아를 묻으러 가다가 칼 가지러 집에 들렀는데, 엄마한테 붙잡혀서 밥을 먹고, 엄마는 난데없이 그림을 보여준다. 머리로는 상상할 수 없는 에피소드인 것 같다. 끊임없이 봐도 이 영화가 참 좋은 게, 전형적인 씬들이 거의 없다. 항상 뭔가를 비틀어낸다. 지미가 새벽에 식당에서 나오면서 잠복하다가 잠든 FBI를 깨우는 장면도 참 재미있다.

 

김성욱: <대부>도 그렇고 <범죄와의 전쟁>도 일종의 범죄자의 공동체를 그리고 있다. 그런데 <좋은 친구들>의 조직은 좀 묘한 구석이 있다. 이 영화의 패밀리는 그렇게 인위적이지도 않고 인정으로 뭉쳐있다는 느낌도 별로 없고, 돈이라는 커넥션에 의해 뭉쳐져서 <대부> 1편에서 보이는 가족적인 느낌과는 굉장히 다르다. 게다가 주인공은 마피아로 보자면 일종의 진골이 아니기에 정통 시칠리 마피아의 세계에 들어갈 수 없다.

윤종빈: <대부>는 영화가 좋고 나쁜 것과 상관없이 리얼한 것과는 좀 거리가 먼 것 같다. <대부>의 패밀리는 약간 과장되고 판타지가 있는 패밀리 아닌가. 얼마 전 스콜세지 인터뷰집을 봤는데 <좋은 친구들>, <비열한 거리>(1994) 얘기 할 때는 그냥 자기가 살던 동네가 진짜 그랬다고 하더라. 이태리 이주민들이 모여서 정말 못사는데, 다 갱들이 있고, 갱이 없으면 생활에 불편함을 겪는다고 했다. <좋은 친구들>은 왜 마피아를 할 수밖에 없는지, 집단을 합리화시키는 명분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는다. 주인공이 자기가 갱스터 되고 싶은 이유는 줄을 서기 싫고 돈을 벌기 위해서라고 말하는데 쿨하고 재밌는 화법인 것 같다.

 

관객1: 영화 안에서 우스꽝스러운 장면들이 많은데 그럼에도 폭력성은 늘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이 영화에서 가장 심한 폭력이라고 보는 부분은 어디라고 생각하시는지.

윤종빈: 이 영화에서 가장 폭력적인 장면은 두 씬이 있다. 식당에 찾아온 헨리에게 폴리가 돈 몇 천 주고 관계를 끝내버리는 장면, 그리고 지미가 헨리를 불러서 누구를 죽이고 오라고 부탁하는 장면. 그 장면에선 배우들의 표정도 굉장히 서늘했던 것 같다. 물리적 폭력도 무섭겠지만 좋게 지내던 관계들이 한순간에 탁 끊어지는 게 싸늘하면서도 무서웠다.

 

관객2: 관객의 입장에서 이 영화엔 그렇게 폭력적인 장면이 많아 보이진 않았다. 그런데 <범죄와의 전쟁>은 보기에 약간 불편했다. 만드는 사람 입장에서 영화가 묘사하는 폭력의 수준이 어느 정도가 적절하다고 보시는지 궁금하다.

윤종빈: 기본적으로 피나 신체가 절단되는 것들을 직접 보여주는 걸 좋아하진 않는다. 영화마다 다른데, 드라마가 있는 영화라면 표현하는 형식들이 주제를 뛰어넘으면 안 된다는 생각을 항상 한다. 담담하게 수위를 많이 줄이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관객3: 스콜세지는 최근까지도 영화를 찍고 있는데, 스콜세지의 다른 영화들 중에 무슨 영화를 좋아하시는지 궁금하다.

윤종빈: 스콜세지 영화는 거의 대부분 다 좋아한다. 스콜세지가 만든 영화들 중에서 정말 좋아하는 영화는 <카지노>(1995)가 마지막인 것 같다. 그 이후보단 이전 영화들이 더 좋은 것 같다. 최근에 본 <휴고>는 좋았다.

 

정리: 송은경(시네마테크 관객에디터) | 사진: 김윤슬(시네마테크 자원활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