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고전/마스무라 야스조 회고전

마스무라의 영화, 현재도 돌파구가 될 수 있는가

[현장중계] 김성욱 프로그래머 '마스무라 야스조의 미학' 강연

마스무라 야스조 회고전이 한창인 21일 오후 <아내는 고백한다> 상영 후, 서울아트시네마 김성욱 프로그래머의 특별강연이 있었다. <아내는 고백한다>를 중심으로 마스무라 야스조가 일본영화사에서 갖는 의미와 그의 영화세계의 전반적인 미학에 대해 이야기한 자리였던 그 시간을 일부 옮긴다.


김성욱(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전반적인 마스무라 야스조의 이야기와 방금 보신 영화에 대한 짧은 이야기를 드리겠다. 오시마 나기사는 마스무라의 영화가 나왔을 때, “이것은 돌파구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고 한다. 지금 시점에서 마스무라의 영화를 보는 것은 전혀 몰랐던 작가와 배우를 만난다는 의미와 함께, 이것이 일본영화사에서 어떤 돌파구로 작용했으며 현 시점에도 돌파구로 작용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내포한다.

 

일본영화계의 하나의 전통은 욕망의 표출을 억제했던 경향이다. 마스무라는 이와 같은 상황

에서 개인을 그려내면서 일본 누벨바그에 직접적 영향을 줬다. 이때의 개인이란, 모든 것에서 떨어져 나온 한 개체가 아니라, 조직과 집단과 사회와 구조와 틀, 어떤 관계 안에 있는 개인이었다. <아내는 고백한다>에서도 이는 분명하게 드러나는데, 가령 로프와 매달린 사람의 수직적 구조가 그것이다. 중간에 매달린 여자를 중심으로, 위에는 기어 올라가서 만나야 할 젊은 남자가 있고, 아래는 남편이 있는 수직적인 선이 되는 로프는 동시에 여자에게는 하나의 올가미가 되기도 한다. 로프에 매달린 것은 생명과 연관됨과 동시에 자신을 옭죄는 올가미인 셈이다. 마스무라가 주목한 것은 그 수직의 안에서 무언가를 끊어낼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마스무라는 인간의 외면적인 것, 신체적인 것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가령 이 영화의 비에 젖은 머리, 조금 까매진 양말, 진흙을 밟고 걸어온 듯한 여주인공의 모습, 손끝 연기나 얼굴 표정, “내 몸이 얼마나 야위었느냐”라고 말할 때의 반지와 시계의 헐거움. 그런 점에서 <눈먼 짐승>이란 작품은 마스무라의 세계를 응축해서 보여주는 영화라 하겠다. 촉각적이고 표피적인 것에 몰두하는 것은 눈이 멀었기 때문이다. 누군가를 사랑하면서 예술가의 눈은 멀게 되고, 이는 맹목적인 여성의 형상과 닮아있다. 눈 멈과 맹목성. 표피적이고 표면적이고 촉각적임, 그것과 눈이 멈의 상태. 눈이 먼 상태에 빠진 인물들의 사랑에의 맹목성. 이런 것들은 단순히 이야기의 구조 내에서 형성되는 것만이 아니라 보다 물리적이고 촉각적으로 진행된다.

 

마스무라의 영화는 심플한 점이 매력적이다. 가령 <아내는 고백한다>에서는 “사랑 한다면 죽일 수도 있다. 죽일 수 없다면, 죽을 수 없다면, 그것은 사랑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단순한 테마가 있다. “사람을 죽인 사람은 사랑할 수 없는가? 사람을 죽이는 것과 사랑하는 것이 이율배반적인 것인가?” 이 테마 하나에 몰두해 영화 전체가 흘러가는 구조다. 핵심이 무언인지 정확하게 느낄 수가 있고, 이 하나를 맹렬한 속도로 파고 들어간다.

 

사랑과 죽음이 분리 불가능한 상태가 펼쳐진다. 이는 일종의 질문인데, 이 질문이 제기되는 지점이 어디인가에 그 중요성이 있다. 이 영화에서 자일을 끊게 되는 지점에서 이 여자가 느낀 것은 진정으로 그 남자를 사랑한다는 것에 대한 깨달음이다. 죽이는 것과 사랑을 깨닫는 것이 같은 순간에 벌어진다. 뭉개지고 절단 난 남편의 시체를 바라보는 것. 그것과 함께 삶과 생으로 충만한 젊은 남자에의 열망이 대조된다. 시체, 죽음과 마주한 이후에 남아있는 여자의 삶에의 데카당스적 열망. 이는 전후의 영화라는 환경에서, 시체들과 마주한 인간의 에너지에 대한 탐구이다. 그 에너지는 곧 사랑, 욕망과 열망이다. 인간이 인간답게 산다는 것이 가장 에로틱한 것이다. 에로틱한 것은 작은 죽음이다. 일종의 오르가즘. 작은 죽음의 경험을 얻는 것은 영화를 볼 때의 사람들의 태도와 비슷하다. 영화와 에로티시즘은 떼어낼 수 없다. 그것을 영화적 형식과 본성과 연결시켜나가는 마스무라 영화의 매혹성이 있다. 즉 단순한 센세이션을 넘어선 영화의 본질을 담아내는 것이다.

마스무라는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관계 안에서 충돌되는 힘의 역학관계를 대중영화가 갖고 있는 이항대립의 요소로서 적극적으로 드러낸다. 충돌의 에너지는 유동적인 면이 있다. 원래 설정된 캐릭터의 충돌이라기보다는 캐릭터들이 변이되는 모습에서 발생하는 충돌이기 때문이다. 인물의 변이라고 하는 것. 어떤 지점에서 만들어지고, 변이를 만드는 추동력이 무엇인가? 인물이 하나의 개인으로서 등장하게 되는 지점까지 영화가 끌고 가, 어느 순간 내부의 에너지가 분출되어 나갈 때, 개인성이 탄생한다. 그러한 변이 지점을 잘 보여주는 영화가 <섹스 체크>이다. 힘과 에너지를 갖게 되는 몸, 성차의 문제, 그 변이의 과정들이 하나의 주제나 테마, 혹은 소재처럼 작동하는 영화이다. 마스무라는 그것을 가정 내의 공간까지 끌어온다는 점에서 선구적이다. 이런 에너지, 힘들의 격돌을 무엇보다도 영화적으로 보여주는 것. 이것이 마스무라의 역량이다.

 

마스무라의 영화가 현재 어떤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 마스무라의 영화가 갖고 있는 현대성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다. 사회성을 잃어가는 영화들, 어떤 관계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은 터무니없는 개인을 다루는 영화들과는 달리, 마스무라의 영화는 사회적 밧줄에 얽혀 있는 자에게서 개인성이 출현하는 지점, 사랑의 탄생이자 열망의 탄생, 그것이 죽음과 쇠락을 경유하는 것을 보여준다. (정리: 박영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