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들건들 느껴볼 것 - <인히어런트 바이스>

[폴 토마스 앤더슨 35mm 필름 투어]


건들건들 느껴볼 것

- <인히어런트 바이스>

  

조연으로 출연한 조쉬 브롤린조차 처음 읽었을 때 “빌어먹을, 한 단어도 못 알아먹었다”고 토로한 바 있는 토머스 핀천의 동명 소설을 영화로 옮긴 <인히어런트 바이스>는 사람들로 하여금 이해가 안 간다고 불평하게 만들기에 딱 좋은 작품이다. 제법 이름 난 비평가인 조너선 롬니조차 『필름 코멘트』에 쓴 <팬텀 스레드>의 리뷰에서 이 전작을 언급하면서 지독히 두서없는 영화란 뜻에서 “차라리 인코히어런트 바이스(incoherent vice)라고 불러야 한다”며 비꼬았을 정도니 말이다.

이 영화를 멋지게 독해해내려는 시도는 무모한 도전으로 남겨지게 마련이다. 독해할 수 있는 영화가 아니라 그 이상야릇한 무드에 다짜고짜 전염되어 볼 수밖에 없는 영화이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사립탐정 닥(호아킨 피닉스)이 뉴타운 지역의 매춘업소를 방문했다가 누명을 뒤집어쓰고 경찰에 붙잡혔을 때, 그 뒤에 펼쳐진 모래 언덕 위로 정체모를 사람들이 보였다 안 보였다 하는 대목이 있다. 이런 장면을 보고 뭐라고 콕 집어 해석할 수 있겠는가. 이렇게 의도적으로 오묘하게 만들어진 장면 앞에서는 말보다 주인공과 함께 오묘한 기분에 빠져드는 편이 좋을 것이다. 혹은 파트너를 잃은 상처를 지닌 형사 ‘빅 풋’이 대놓고 초콜릿 ‘하드’를 쪽쪽 빨아대는 모습을 보고 어떤 진지한 ‘썰’을 늘어놓을 수 있을 텐가. 이 영화의 두서없는 흡입력 앞에서는 너무 난감해 말고 그냥 킥킥대며 빨려드는 태도가 필요한 것 같다.

물론 한편으로 생각하면 <인히어런트 바이스>는 1970년대 미국 청년 세대를 짓누르고 또한 폭발시켰던 음모론, 편집증, 폭력주의와 반폭력주의, 리버럴리즘, 약물, 죄의식, 멜랑콜리, 분열증 등을 아주 노골적으로 상기시키며 끌어들이는 영화다. 그러니까 미국사의 한 시대를 형성한 사건들이나 사상들을 뒤적이면서 그럴싸한 말로 이 영화의 소위 ‘정체’에 대해 자못 엄숙한 태도로 몇 마디 정리된 말을 늘어놓는 건 그리 어렵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정리된 말은 토마스 핀천의 원작이나 폴 토머스 앤더슨의 각색에도 썩 어울리지 않는 리액션이다. 이 영화는 정리가 잘 되지 않는 상태로 즐겨야 한다.

말하자면 다른 한편으로 <인히어런트 바이스>는 미국에 대한 사회 비평적 영화가 아니라 핀천의 원작에 대한 영화적 리액션이다. 그리고 이 영화적 리액션은 잘 조율된 불협화음으로 넘실거린다. 주인공을 압박해오는 힘들과 주인공을 이완시키는 힘들 사이의 모순, 파편화된 서사와 통합적 형식 사이의 긴장, 폴 토마스 앤더슨 초기에 자주 볼 수 있었던 다선적 구조와 그의 2000년대 영화들에 나타나기 시작한 미니멀한 구조 사이의 결탁, 필름에 대한 시대착오적 향수와 자본과 산업에 대한 날카로운 감각 사이의 갈등 등, 불협화음은 영화 내외를 가로지르며 울려퍼지고 있다. 그러니 이로부터 일관된 결론을 도출하려 하지 말고, 남부 캘리포니아의 햇빛과 바람에, 마리화나 연기에 취한 기분으로 건들건들 느껴볼 것을 권한다. 


이후경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