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고전/페데리코 펠리니 회고전

개인의 내밀한 현상, 정신적 혼란

[영화읽기] 페데리코 펠리니의 <달콤한 인생>


초기 영화들에 보인 관객과 평단의 일관성 있는 호응과 달리 <달콤한 인생>(1960)은 엄청난 논란과 논쟁을 불러일으킨 영화다. <달콤한 인생>은 <카비리아의 밤> 이후 펠리니가 더 이상 네오리얼리즘의 범주가 아닌 그만의 고유한 속성을 만들어낸, 그 출발점에 위치한 중요한 작품이다. 전작에서 보여준 개인의 내밀한 현상, 즉 외부의 영향과 관계없이 인물 스스로 겪는 정신적 혼란이 <달콤한 인생>에서 구체화되었다. 펠리니는 여기에 시적이고 환상적인 표현을 추가했다. 밤과 낮이라는 시간의 경계에 따라 행동과 사고가 완전히 뒤바뀌는 마르첼로라는 인물이 주인공이다. <달콤한 인생>의 모든 에피소드는 마르첼로의 행적을 따라 진행되는데, 그가 만나는 모든 인물들(여성들)은 마르첼로의 시각적이고 육체적인 쾌락의 욕망에 따라 등장하고 사라진다. 마르첼로와 여성들, 그리고 마르첼로의 친구들이 벌이는 퇴폐적이고 향락적인 만남과 헤어짐의 장면들은 밤에서 낮으로 전환되는 ‘새벽’에 배치되어 인물들의 현실의 시간을 모호하고 몽환적으로 느껴지게 한다.


<달콤한 인생>은 마르첼로의 주변에 놓인 사회적 현상들을 비난하는 영화다. 3류 기자이지만 기사를 쓰기 위함이라는 명목으로 상류층 모임 등을 쉽사리 드나들 수 있었던 마르첼로는 상류계급에 대한 비판을 위해 존재하는 인물이다. 펠리니는 이 영화로 제13회 칸국제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이탈리아 자국에서는 극장 개봉부터 수없이 많은 구설수에 올라야만 했다. 각계각층을 누비며 비정상적인 인물들의 행위를 폭로하는 주인공의 모습은 당시 이탈리아 상류사회로서는 용납할 수 없는 것이었다. 개봉 즉시 <달콤한 인생>을 향해 거센 항의가 쏟아졌다. 특히나 영화의 첫 장면, 바람둥이를 연상시키는 헤픈 인물들이 예수의 조각상을 공중에 띄워놓은 채 추파를 던지는 장면은 50년이 지난 지금까지 종교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하지만 극단적인 평가를 얻었던 만큼 화제가 되어 자국에서 흥행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강민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