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별전/2017 한국 독립영화 신작전

“신부님은 ‘일’보다 ‘삶’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 <내 친구 정일우>의 김동원 감독과의 대화

[한국 독립영화 신작전]


“신부님은 ‘일’보다 ‘삶’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 <내 친구 정일우>의 김동원 감독과의 대화


김성욱(프로그램디렉터) <내 친구 정일우>를 어떻게 처음 기획했는지 궁금하다.

김동원(감독) 개봉할 생각 없이 만든 작품이다. 요즘 개봉 이야기가 나와서 좀 혼란스럽긴 하다(웃음). 처음에는 예수회나 제정구기념사업회도 이 영화를 만들 계획이 없었고, 내가 먼저 제안했다. 나중에 예수회와 일반 후원회원들에게 지원을 받아서 만들었다.

김성욱 감독님의 작품 중 <한사람>(2001)이라는 영화가 있다. 그 작품과 <내 친구 정일우>가 연속 선상에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한사람>에 대해 감독님이 “한 개인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지만, 세상 속에 존재하는 한 사람에 대한 작품이다“라고 말씀하셨던 게 기억난다. 친분이 있는 사람에 대한 영화를 찍는다는 건 감독과 그 사람이 너무 가깝기 때문에 어려운 일이다. 그 사람을 전혀 모르는 관객들도 영화를 볼 것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시선이 필요할 것이다. 영화를 만들 때 가장 고심했던 부분은 무엇인가.

김동원 <내 친구 정일우>를 만들 때는 <한사람>의 방법론을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지 고민했다. 두 영화 모두 한 인물에 대한 연대기를 다루기 때문에 영화의 형식은 비슷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그걸 스스로 참을 수 없었다. 어떻게 하면 두 영화를 다르게 만들 수 있을지 많이 고민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정일우 신부님이 너무 완벽한 분이기 때문에, 그분을 다큐에 담았을 때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을지 고민했다. 신부님이 돌아가신 다음에 다른 사람들이 더 이상 신부님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는 것이 안타까웠다. 내가 가지고 있는 자료를 취합해서라도 신부님의 목소리를 직접 들려주려고 했다.

김성욱 60~70년대의 청계천, 80년대의 상계동, 그 이후 농촌 생활로 이어지는 신부님의 삶의 궤적을 볼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네 사람의 나레이션이 들린다. 각 시대와 관련된 분들이 나레이션을 한 것 같은데, 이 구성은 어떻게 생각한 건가.

김동원 <송환>에서 과도한 나레이션을 쓰긴 했지만 사실 개인적으로 나레이션을 어려워한다. 그런데 내가 아는 신부님의 모습은 실제 그분의 아주 일부분일 뿐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각 시대마다 신부님의 모습을 가장 잘 이해하고 묘사할 수 있는 분들을 찾아 신부님께 보내는 편지를 써달라고 부탁했다. 예수회 시절에서 한 분, 청계천 시절에서 한 분, 괴산 시절 한 분. 가장 가까웠던 분들에게 편지를 받았고, 화면이랑 대조해 나갔다.



김성욱 영화에서 느껴지는 시대적인 변화 중 하나는 공동체의 붕괴다. 상계동에서 같이 계셨던 분들에게 인터뷰를 요청했을 때 그 시절 이야기를 꺼내는 걸 거부하기도 한다. 점점 공동체가 붕괴되고 작아지는 것에 대해 감독님이 큰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김동원 나 자신에 대한 반성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공동체에 대한 나의 확신이 엷어져 가는 것에 대한 성찰. 괴산의 할머니가 옛날에는 대보름 잔치가 신났는데 이제는 잔치 같지도 않다는 말씀을 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요즘엔 집들이 같은 것도 없어졌다. 가족 관계나 친구 관계가 변한다는 것이 확연하게 느껴지고 공동체의 미덕을 찾아보기가 힘들어졌다. 그 얘기를 꼭 하고 싶었다. 상계동 사람들뿐 아니라 우리도 그렇지 않은가.

김성욱 영화 첫 장면도 인상적이다. 신부님이 무슨 생각으로 태평양을 건너 한국으로 건너오셨을까. 어떤 생각과 믿음으로 이런 일들을 했을까 궁금하기도 하다. 누가 신부님에게 고민을 얘기했을 때 어떤 조언을 하기 보다는 그냥 듣고 있었다는 증언들도 인상적이다.

김동원 내가 신부님을 미화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신부님은 눈에 띄지 않게 일을 했다. 상계동에서 철거가 시작되면 계속 녹음기를 가지고 당시의 정황을 녹음했다. 그 기록들을 통해 상계동의 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일을 많이 하셨다. ‘복음자리’와 ‘목화마을’을 만든 것도 신부님이었다. 그런데 ‘일’보다 ‘삶’이 더 중요하다는 게 신부님의 신념이었다. 훗날 상계동 사람들에게 배반당했을 때, 복음자리를 만들면서 사람들에게 위협을 받았을 때, 신부님이 어떤 심정이었을지 궁금하다는 관객들의 반응이 있었다. 그런데 그런 아픈 경험은 신부님뿐 아니라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겪을 수밖에 없는 운명 같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럴 때 거기서 미련 없이 떠나는 사람이 있고 그걸 이겨내는 사람이 있는데, 신부님은 후자였다. 버티는 게 목회자나 활동가의 숙명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것이 ‘보통 사람’들에게도 적용되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관객 1 신부님이 3년 전에 돌아가셨는데, 이 영화 제작을 언제 결심했는지 궁금하다. 또 2007년에 상계동 주민들과 술자리를 갖는 장면에서 카메라가 빈 테이블을 보여준다. 그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김동원 신부님에 대한 영화를 만들려고는 했었는데 구체적인 준비는 못 한 상태에서 신부님이 돌아가셨다. 따로 인터뷰도 한 번 못 했기 때문에 후회를 많이 했다. <상계동 올림픽>을 만들 때는 투쟁의 주체는 주민들이어야지, 신부님이 드러나면 안 된다는 생각이 있었다. 괴산에도 몇 번 가지 못했다. 병원에 계실 때의 모습은 간병인들이 찍은 거고, 괴산 장면은 거의 평화방송이 찍은 것이다. 본격적으로 영화를 만든 건 신부님이 돌아가신 후부터다.

사실 20년 전부터 상계동 주민들의 지금 삶에 대한 영화를 기획했다. 그런데 자꾸만 기획 의도가 달라지더라. 주민들의 지금 삶이 계속 움직이고 있었기 때문에 나의 뚜렷한 관점을 제시하기 어려웠다. 포기의 순간까지 갔었지만 신부님을 중심으로 영화를 만들면서 다시 상계동 이야기를 할 수 있었다.

관객 2 영화 중간에 세월호 선체를 부감으로 보여주는 장면이 있다.


김동원 슬퍼하는 것만으로도 버거울 사람들이 앞서서 싸우는, 피해자들이 오히려 가장 선봉에 서는 모습을 상계동에서도, 세월호 참사 때도 보았다. 그분들이 세상을 바꾸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점에서 “가난뱅이가 세상을 바꾼다”는 신부님의 말에 공감한다. 하지만 한편으로 정말 그렇게 될까 싶은 회의도 있다.

김성욱 마지막으로 다음 작품 계획을 듣고 싶다.

김동원 내 나이는 이제 하나씩 정리만 해도 좋을 시기라는 생각을 한다. 일단 <송환>의 다음 이야기를 해야 하고, 이 작품을 ‘상계동 올림픽 2’라고 우기고도 싶다(웃음). 또 봉천동 이야기도 정리해야 하고, <상계동 올림픽>의 나레이션을 하셨던 손인숙 수녀님에 대한 다큐멘터리도 만들고 싶다. 아직은 모호한 생각만 있다.


일시 6월 21일(수) 오후 7시 30분 <내 친구 정일우> 상영 후

사진 이한슬 자원활동가

정리 황선경 관객에디터